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독재정권의 불의에 항거한 4·19혁명의 정신을 기리는 제45주년 4·19혁명 기념식이 19일 오전 10시 서울 국립 4·19묘지와 전국 16개 자치단체에서 일제히 거행됐다.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열린 서울 기념식은 김진표(金振杓) 교육부총리를 비롯한 정부인사, 4·19혁명 관련단체 회원, 시민, 학생 등 2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강재식(姜在植) 4·19 민주혁명회장의 경과보고, 한음어린이합창단의 기념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는 김 부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이제는 화해와 통합이 필요한 시기"라며 "과거사의 진실을 밝히고 서로의 공과를 분명히 함으로써 우리는 진정한 화해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참여정부는 역사를 바로세우고 민족자존의 원칙을 지켜나가며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포함한 평화통일정책을 추진, 민족 공동번영과 동북아 평화번영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세대와 지역을 넘어 4·19혁명의 정신을 이어받고 진정한 국민통합의 길을 가고자 다짐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국 16개 자치단체에서는 이날 자치단체장 주관으로 기념식이 개최됐다.
또, 오후 3시 30분부터는 서울 강북문화원 주관으로 희생자를 추모하는 '제9회 소귀골 음악회'가 4·19묘지 정의의 횃불광장에서 열리고 오후 6시에는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4·19 혁명의 밤 행사'가 마련된다.
지난 2월 20일부터 대구, 마산, 부산, 광주를 거친 '4·19혁명 순회 사진전시회'도 이달 30일까지 4·19묘역에서 계속된다.
이에 앞서 18일 오후 5시에는 4·19묘지 유영봉안소에서 원제만 4·19 유족회장, 정일권 보훈처 보훈관리국장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19혁명 희생자 추모제가 개최됐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