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침각 산란법' 세계 최초 개발

입력 2005-03-21 13:42:5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포항공대 이문호 교수팀

21세기 핵심기술로 손꼽히는 나노기술 개발을 획기적으로 앞당길 나노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 화학과 이문호(50· 포항가속기연구소 부소장) 교수팀은 0.1나노(nm, 1nm은 10억분의 1m)~1천 나노 크기의 구조와 특성을 고정밀도로 분석이 가능한 방사광 나노 분석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교수팀은 이를 세계적인 과학전문지 '마크로몰레클스(Macromolecules)'인터넷판 3월15일자와 22일 발간되는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Advanced Materials)' 3월호에 잇따라 게재했다.

나노기술은 나노소재, 나노구조 축조, 나노특성 평가 및 나노응용 등의 요소 기술로 구성된다.

이 나노기술은 극미세 영역인 나노 수준의 구조와 특성을 활용하는 신기술이기 때문에 이들을 얼마나 고정밀도로 분석하느냐에 따라 기술 개발의 성패가 좌우된다.

이 때문에 선진국들은 나노기술과 함께 나노분석 기술 개발에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교수팀은 포항방사광가속기에서 만들어지는 방사광 X-선을 소재 표면에 입사시켜 구조를 완벽히 분석해 내는 '스침각 산란법(Grazing Incidence Scattering)'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한편 이 교수팀은 이 기술을 활용, 50나노급 차세대 반도체용 초저유전 재료와 나노기술의 핵심요소인 나노패턴용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포항·임성남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