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고속철 해법 10년탑 무너지나

입력 2005-03-18 14:09:3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부가 경부고속철(KTX) 대구 도심 구간에 대해 고속선로를 건설하지 않는 방안(본지 15일자 1면)을 검토하고 있는 것과 관련, 고속철 사업이 '반쪽 공사'로 끝나지 않을까 걱정하는 여론이 많다.

대구시는 우여곡절 끝에 도심 구간의 지상화를 확정한 시점에서 이 같은 일이 터지자 '공든 탑이 무너지는 게 아니냐'며 우려하는 분위기다.

■대구시의 입장은?

지난 10여 년간 도심 통과 구간(11.5㎞)의 지상화·지하화 문제를 놓고 표류하다 지난해 11월 지상화로 결론 낸 대구시는 조바심을 내고 있다.

시는 내년부터 2010년까지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1조3천억 원의 재원으로 도심 낙후 지역을 개발하고 입체교차로 신설 및 개량(16개소), 입체교차 연결도로(3㎞) 건설 등을 계획해 왔다.

또 한국철도시설공단에 동대구역세권 개발 용역도 함께 의뢰해 동대구역 일대를 신도심으로 조성하는 구상에 부풀어 있는 상태다.

시는 15일 오후 보도자료를 내고 "예산관계 부처 등에 철도변 정비를 전제로 지상화에 대한 정부 방침을 조기 확정토록 요청했고 철도변 정비 사업 등은 지역 인사들과 함께 전방위로 추진하겠다"고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

한 관계자는 "정치권, 지역 여론주도층 등과 함께 대구 도심 구간의 지상화 공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떻게 되고 있나?

대구시는 올 초부터 정부가 고속선로 유보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고 있었다.

지난해 12월로 예정된 건설교통부의 SOC심의위원회 등이 이런저런 이유로 계속 연기됐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정부 내에서 고속철 공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올 초 천성산 터널공사 문제가 전국적인 이슈로 터져나오면서부터 이런 기류가 더욱 심해졌다는 게 관계자의 얘기다.

경주의 문화재 훼손, 울산의 역사(驛舍) 논란 등 고속선로 미완성구간(2단계 공사)인 대구―부산 구간 공사 중에 야기될 민원도 적지않은 부담이다.

경부고속철의 경우 지난해 4월 KTX개통 전만 해도 하루 평균 15만 명의 승객을 예상했으나 현재 6만∼7만 명에 불과할 정도로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대구와 대전의 도심통과구간에 대한 사업비만 해도 각각 1조3천억 원, 5천억 원에 달한다.

건설교통부가 14일 대구와 대전시의 담당 국장,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설명회를 연 것도 이 같은 분위기 때문이다.

건교부는 이 자리에서 "정부 내에서 고속철 사업을 장기 투자사업으로 미룰 가능성이 있으니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주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고속철 사업은 정치·경제적인 문제와 긴밀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정부가 중도에 그만두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박병선기자 lala@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