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개마고원의 자연 생태계가 TV를 통해 모습을 드러낸다.
MBC는 개마고원의 사계를 담은 남북 공동 제작 다큐멘터리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을 가다'를 15일 밤 11시 10분에 방송한다.
공동제작은 북한의 '조선기록과학영화촬영소'가 2003년 10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개마고원의 사계를 촬영하고 MBC가 구성과 편집을 맡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1년여에 걸쳐 개마고원의 계절 변화를 촬영한 것은 북한에서도 처음이다.
개마고원은 지금으로부터 약 10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인해 용암이 굳어지면서 생성된 고산지대. 고원의 평균 높이만 해도 1천340m, 넓이는 1만4천300㎢로 여의도의 1천700배에 달한다.
압록강과 부전령, 낭림산 줄기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태초의 원시림이 그대로 보존된 야생 생명체의 터전이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개마고원은 한국 자연 생태계의 보고다.
다큐멘터리는 남한에서 이미 멸종 위기에 처한 한국 표범을 비롯해 장난치는 불곰, 낮에 활동하는 스라소니, 늑대 무리 등 맹수류들의 생태를 카메라에 담았다.
또 꿩의 알을 훔쳐 먹는 여우, 수리부엉이와 올빼미, 복작 노루 등 야생 동물들의 모습도 생생하게 포착했다.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1천m 이상의 고지대에만 서식하는 '우는 토끼'의 신기한 울음소리도 들을 수 있다
동물뿐만 아니라 원시림의 풍부한 식물 생태도 볼 수 있다.
수령이 2천 년을 넘고 밑둥 둘레가 16.2m에 달하는 '금야은행나무'(북한 천연기념물 271호)와 1천 년이 넘는 주목 군락이 눈길을 끈다.
또 계속 이어진 돌무더기 밑으로 물이 흐르는 '돌강'의 이색적 모습도 감상할 수 있다.
장성현기자 jacksou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