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내에서 부동산 투기의혹을 사
고 있는 이헌재(李憲宰) 부총리의 자진 사퇴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6일 "지금은 경제정책의 일관성 유지와 경제활력 회복이 중요
한 상황"이라며 국민과 언론에 대한 이해와 협조를 구한다는 기존 입장을 그대로 유
지하고 있어 당정간 이견조율이 주목된다.
물론 우리당은 아직 당 차원의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아니나 지도부 경선에 출
마한 일부 당권주자들을 중심으로 "이 부총리가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이 잇
따르면서 이 부총리 거취 문제를 둘러싼 당내 기류에도 미묘한 변화의 조짐이 감지
되고 있다.
'친노'(親盧) 직계의 염동연(廉東淵) 의원이 지난 4일 청주지역 기자간담회에서
"이 부총리는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포문을 연데 이어, 재야파를 대표하는 장영
달(張永達)의원이 5일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이 부총리의 '결단'을 주문했다.
장 의원은 "아무리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있더라도 도덕성에 기반하지 않으면
신뢰를 확보하기 어렵다"면서 "이 부총리는 현 시점에서 국가와 민족 앞에 어떤 자
세를 취하는게 좋은 것인지 심각한 고민과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참여정치연구회의 김두관(金斗官) 후보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부동산
대책을 책임진 장관으로서 알아서 용퇴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임종인(林鍾仁) 의원
은 "스스로 물러나서 정부와 여당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명숙(韓明淑) 의원은 "땅 매입자의 대출이 하루만에 이뤄지는 등 새로운 의혹
이 등장한 만큼 이 부총리의 확실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며 "해명을 해도 국민이 납
득할 수 없다면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 당권주자들의 입장 표명은 더 이상의 여론악화를 막으려면 현단계에서 이
부총리의 자진 사퇴가 최선의 해법이라는 여당 일각의 상황인식을 반영하는 측면이
있지만 '바닥표심'을 겨냥한 선명성 경쟁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이와는 달리 일부 주자들은 이 부총리의 '재신임'을 결정한 노무현(盧武鉉) 대
통령의 뜻을 존중해줘야 한다고 주장, 사퇴론을 주장하는 후보들과 상이한 입장차를
드러냈다.
문희상(文喜相) 후보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당권후보자가 대통령
의 고유 인사권에 대해 왈가왈부해선 안된다"고 밝혔다.
신기남(辛基南) 후보도 "경제발전에 총력을 모아야할 시점에 내각이 안정되도록
해야 한다"며 "대통령의 뜻을 이해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시민(柳時敏) 후보는 "인사권자인 대통령과 본인이 합리적으로 숙고해 결정하
도록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했고, 송영길(宋永吉) 후보는 "사실관계를 좀 더 들어
보고 해명을 들어봐야 한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경제상황'을 감안해 이 부총리를 재신임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던 우리당 지
도부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미묘한 변화의 조짐이 엿보이고 있다.
원내대변인 격인 오영식(吳泳食) 원내부대표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 부총
리와 관련해 제기되는 논란에 대해 대단히 우려심을 갖고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국민
여론을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임종석(任鍾晳) 대변인은 지난 4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올해 경제
가 나아지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만큼 야당도 대승적 차원에서 이 부총리의 사
과와 해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