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꿈 나의 가능성-적성 맞춰보기

입력 2005-01-17 11:31:4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 코너는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적성이 어느 쪽에 맞는지, 관심 분야 대학이나 직업을 갖기 위해 어떤 지식을 갖춰야 하는지 진단해보는 난입니다. 제시된 문제들은 중·고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대학의 논술, 심층면접, 학업적성 평가 등에 출제됐거나 출제 가능한 유형을 뽑은 것입니다.

(1) 배아 줄기세포란 무엇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2) 기아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에게 유전자 변형 작물을 먹여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말해 보라.

(3) 자살 유전자(suicide gene)에 관하여 설명하라. 이것을 산업에 어떻게 이용하는가?

1. 배아 줄기세포란 수정 후 4, 5일에서 14일 이전의 세포 덩어리인 배판포에서 추출, 배양돼 분화되지 않은 상태의 세포를 말한다. 이를 특수 배양하면 특정한 장기로 분화될 수도 있고 완전한 개체로 자랄 수도 있다.

이런 배아 줄기세포 연구와 복제는 결국 인간 복제의 가능성을 갖는 관문 과정으로 여겨진다. 논란의 출발점도 이것이다. 배아 줄기세포 복제 과정에는 배아의 파괴나 희생이 불가피한데, 이 배아에게 인간 생명 혹은 도덕적 지위를 갖는다는 주장도 높다. 기업체나 과학자들과 복제 연구 반대론자들이 첨예하게 대치하는 부분이다.

한쪽은 세균 배양용 접시 속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것을 놓고 과연 생명체라고 볼 수 있느냐면서, 배아가 자궁에 이식돼야 비로소 생명체로 간주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 환자 치료를 위한 배아 연구에 윤리적 가치를 적용하는 것은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고 주장한다. 반대쪽에서는 수정이 곧 생명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수정으로부터 인간의 존엄성을 부여받는다고 반박한다.

2. 유전자 변형 작물이 인체에 치명적이거나 분명히 해롭다면 이런 문제 제기는 처음부터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 등 유전자 변형 작물을 지지하는 국가에서는 형질 전환된 작물과 원래 자연에 있던 작물을 분석했을 때 그 성분 간에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이에 반대하는 일부 유럽 국가들은 유전자의 확대 재생산 능력을 감안해 상당한 시간을 두고 효과를 관찰하자는 자세를 보인다. 유전자 변형 작물의 일부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스타링크'라고 부르는 옥수수가 소화 장애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 사례가 있었으며 사료를 먹인 일부 실험동물에서 독성 효과가 관찰되기도 했다.

이 같은 독성 효과 때문에 유전자 변형 작물을 금지해야 하나, 아프리카의 기아처럼 생존의 가치가 중요하나에 대한 판단은 그 사회에 수용 가능한 것인지에 따라 상대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기아에 대한 다른 대안이 없다면 이런 논쟁조차 불필요할 수 있다.

3. 자살 유전자는 활성화가 시작돼 특정 단백질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면 그 세포에 죽음을 유도하는 유전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암의 치료는 대개 모든 세포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지만, 특정 화학 물질을 캡슐에 담아 암 발생 부위에서 터뜨림으로써 암세포들에게만 치명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만드는 것이다. 자살 유전자는 이를 가진 세포와 그 주위 세포들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할 뿐 먼 곳의 세포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자살 유전자는 서로 다른 내용으로 개념화돼 있다. 앞서의 예처럼 암의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특정 약제 민감성 유전자, 둘째로 세포의 고사를 유도하는 정상적 생리활동을 담당하는 유전자, 셋째로 터미네이터 기술에 의해 종자에게서 자폭 기능을 담당하는 유전자 등이다. 터미네이터 기술은 농부들이 수확한 씨앗을 다시 심어 성공을 거둘 수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자료제공 : 늘품미디어

△자신과 똑같은 형질의 인간을 복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떻게 할지 말해 보라.(연세대 생명공학 2001)

△생명 복제와 관련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시오.(숙명여대 정보과학부)

△생명공학에 대해 설명해 보라.(서울대 동물자원학과)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