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공동성명 채택

입력 2005-01-07 14:13:16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유례없는 재난규정, 국제사회 다각지원 약속

남아시아의 대규모 지진해일 피해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6일 이번 사태를 '유례가 없는 재난'으로 규정하고, 피해지역의 중·장기 재건과 유사사태 재발방지를 위해 국제사회가 협력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간다는 데 합의했다.

아세안 10개국을 포함한 19개국 정상들과 유엔 등 4개 국제기구가 참석한 가운데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내 컨벤션센터에서 개막된 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지진·해일 피해 긴급구호 △피해지 재건·복구 △재난 예방을 위한 방재시스템 구축 등 3개 분야에 걸쳐 13개 세부 이행방안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정상들은 피해지역의 긴급구호와 재건에는 5∼10년의 기간이 소요되는 데다 이 같은 복구사업을 위한 재원마련은 일개 국가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국제사회가 나서 지속적으로 피해국가를 돕기로 했다.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성명은 유엔 사무총장이 특별대표를 임명해서 피해국들의 복구노력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국제회의를 소집할 것을 촉구하고, 국제지원의 효과적이고 신속한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적, 지역적, 국제적 구호노력에 있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명은 재건·복구 문제에 대해 "피해 당사국들의 외채상환 지불을 유예한 일부 국가들의 제안을 환영한다"며 "공여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와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이슬람개발은행 및 관련 국제금융기구에 재건·복구사업 유지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특히 성명은 피해국가별 재건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역내 및 국제 금융기관들은 물론 공여국 등 관계국가의 요청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피해국 재건노력에 민간부문 참여를 독려하도록 했다.

성명은 "지역적인 재난예방체계를 구축하려는 아세안의 결정을 지지하며 남동아시아와 인도양에 '쓰나미 조기경보센터' 같은 지역적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재난 방지를 위한 공공교육과 인식, 참여작업을 증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상회의에는 아세안 10개국 정상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이해찬(李海瓚) 총리, 존 하워드 호주 총리 등이 참석했다.

또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제임스 울펜손 세계은행 총재,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타다오 치노 아시아개발은행(ABD) 총재, 유럽연합(EU)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정상회의는 이번 재해 희생자들에 대한 묵념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인도, 몰디브 등 6개 피해국의 피해상황 발표와 각국 대표의 연설 순으로 진행됐다.

이해찬 총리는 연설에서 "이제 거대 재난은 단일국가나 지역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리되고 대처돼야 한다"면서 "지역별·국가별로 구축돼 있는 재난 조기경보체제를 지구적 차원에서 네트워킹화해 모든 국가와 지역이 재해예보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아세안+3(한·중·일)이나 아태경제협력제(APEC) 중심의 방재협력시스템구축을 제안하면서 여기에 이용할 수 있는 한국의 IT(정보기술)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특별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인도네시아에 도착한 각국 대표들은 자국의 적극적인 지원 계획을 약속하면서 피해 현장을 방문하는 등 활발한 '구호외교'를 전개했다.

(자카르타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