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 고용안정이 최우선" 33.2%

입력 2005-01-01 11:23:21

새해를 맞았지만 대구·경북지역 주민들의 체감경기는 갈수록 얼어붙고 있다. 주민들은 살림살이가 IMF 외환위기때보다 힘든 지경이며, 게다가 앞으로가 더 걱정이란다. 이 같은 인식에는 기업을 직접 경영하고 있는 경제인들이나 정치인들이라고 해서 별로 다를 게 없었다.

비난의 화살은 정치권과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 등으로 향해 있다. 현재의 정부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보지못하고 있다는 지적 아래 경기를 적극적으로 부양시키고, 고용을 창출하고, 각종 기업규제도 완화시켜 달라는 등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는 매일신문사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유니온 리서치'가 공동으로 벌인 '신년특집 설문조사' 가운데 경제분야 조사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1천46명(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 3.0%)과 지역출신의 정치인(국회의원과 시·도의원) 79명, 경제인 100명으로 총 1천225명.

○ 현재의 경제 사정

대구·경북 주민들 가운데 78.7%, 즉 열명 중 여덟명 정도가 IMF때보다 어렵다고 했다. 특히 5명(52.8%)은 훨씬 더 어렵다고 답했다. 반면에 낫다는 시·도민은 3.9%에 불과했다.

정치인들은 주민들보다 형편이 좀 나은 탓인지 어렵다는 응답이 73.4%로 5.3%p 낮았다. 경제인들은 76%.

물론 극히 일부에 불과하지만 낙관적인 견해도 있었다. 주민들 가운데에서는 3.9%, 정치인들은 6.4%, 경제인들은 4.0%가 IMF때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2005년의 경제사정에 대해서도 주민 54.0%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봤다. 정치인들은 63.3%, 경제인들은 74.0%가 같은 시각이었다. 특히 기업활동을 직접하는 경제인의 시각이 가장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경제전망을 더욱 어둡게 했다.

반면에 낙관적인 시각은 주민 8.4%, 정치인 6.3%, 경제인 5.0%로 나타났다.

○ 누구의 책임인가.

시·도민들의 생각은 일부 기업과 언론이 경제난을 조작하고 있다는 의견(3.5%)보다는 정부와 여당이 경제 사정을 너무 낙관적으로 판단하고 있다(78.6%)는 쪽에 압도적으로 쏠려 있었다. 정부·여당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경제인들 가운데는 78.0%였으며 정치인들도 93.7%나 됐다. 정치인의 수치가 훨씬 높은데는 야당이 거의 독주하고 있는 지역정치 상황도 어느정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서도 주민 75.4%가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였다. 또 이 같은 평가가 정치인중에는 83.5%나 됐으며 경제인 중에서도 84.0%가 같은 시각이었다.

○ 경제에 악영향 끼친 요인

이에 대해 시·도민들은 정치권의 갈등을 33.7%로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의 실정 31.1%, 노조 등 이익집단들의 이기적인 행동 16.2% 순이었다. 또한 과거 정권의 부정부패가 7.3%, 지역·계층 간 갈등 4.6%, 기업인들의 방만한 경영이 4.1%였다.

경제인들도 정치권 갈등을 39.0%로 가장 많이 꼽았고, 행정부 실정과 이익집단 행동은 23.0%, 13.0%였다.

반면에 정치인들은 행정부 실정을 55.7%나 지적했고, 정치권 갈등과 이익집단 행동은 각각 26.7%, 10.1%였다.

○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 가장 노력해야 할 사람(집단)으로 시·도민들은 대통령과 중앙정부를 최우선적(44.0%)으로 꼽았다. 경제난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정치권에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중앙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시각인 셈이다.

하지만 정치인들의 경우에는 대통령과 중앙정부를 거론한 수치가 2배 수준인 83.5%나 됐다. 경제난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이를 해결해야할 책임도 모두 대통령과 중앙정부로 돌려 정치권에 대한 비난을 가능한한 피하겠다는 의도도 엿보인다.

○ 경기회복 방안

시·도민들은 고용안정 및 창출을 33.2%로 가장 많이 제시했다. 다음으로 정부경제정책의 일관성 유지(25.9%) △획기적인 경기부양책 시행(17.9%) △소비심리 회복(10.1%) △노사관계 안정(4.2%) 등이었다. 특히 20대의 42.8%가 고용안정 및 창출을 꼽아 청년실업의 심각성을 반영했다.

정치인들은 경제정책 일관성을 44.3%나 꼽았고 △고용안정 및 창출 22.8% △경기부양책 시행 13.9% △기업규제 완화 12.7% △노사관계 안정 3.8% 등이었다. 주민과 정치인들 사이에 편차가 적지않은 것.

그러나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적극 추진 중인 뉴딜적 경제 정책에 대해선 주민 55.5%가 반대했고 40.0%는 찬성했다. 절대 반대하거나 전적으로 찬성한다는 쪽은 각각 18.4%와 5.8%였다.

정치인 중에선 찬, 반이 19.0%와 81.0%로 갈렸으며 반대가 시·도민보다 25.5%나 많았다. 절대 반대하거나 전적으로 찬성한다는 편은 29.1%, 2.5%씩이었다.

○ 성장과 분배

경제정책 입안과정에서 성장과 분배 중 어느쪽에 더 비중을 둬야하는 지에 대해선 주민 44.5%가 성장에 우선하되 분배에도 어느 정도 관심을 쏟아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또한 분배에 우선하되 성장에도 관심을 둬야 한다는 쪽은 21.9%였다. 반면에 성장이나 분배에만 치중해야 한다는 시각도 각각 11.9%, 21.8%나 됐다. 또한 성장쪽에 더 비중을 둬야 한다는 시각은 대구(55.0%)보다 경북(57.4%)주민이 약간 많았다.

정치인들은 49.4%가 성장에 우선하되 분배에도 관심, 40.5%는 경제성장에만 매진해야한다고 응답해 주민들과 시각차를 보였다. 분배쪽으로 기운 정치인은 10.1%에 그쳤으며 특히 분배에만 치중해야 한다는 정치인은 2.5%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대구시와 경북도가 기업하기 좋은 지자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주민들의 체감도는 극히 낮기만 했다. 성과가 없었다는 응답이 73.3%나 됐던 것. 이에 대한 정치인들의 평가도 72.2%로 엇비슷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