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지방 네트워크 구축 절실"

입력 2004-12-24 08:55:34

안병윤 서기관

행정자치부 '경상북도 지역 협력관'인 안병윤(安炳玧·40) 서기관은 요즘 국회에서 살다시피하고 있다.

지난 7월 중앙정부의 '지방대사'격으로 경북도에 발령이 났지만, 내년 예산을 챙기기 위해 서울에서 상주하고 있다.

지역 의원은 물론, 여당 예결위원들을 만나 예산부탁도 하고 계수조정 소위 주변을 맴돌며 '정보사냥'에 나서기도 한다.

삭감 정보를 들으면 곧바로 '로비'에 나서 예산의 시급성을 항변한다

'지역 협력관' 파견제는 지난해 행자부가 중앙과 지방의 가교역할을 하기 위해 마련됐지만, 시행 초기만 해도 지방정부나 일선 공무원들의 시각이 곱지 않았다고 한다.

"중앙정부가 지방을 시시콜콜 감시·감독하러 내려온 '고문관'" 쯤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시각은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특히 중앙부처의 인맥을 십분 활용, 예산을 챙기는 데 지역 협력관이 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게다가 안 서기관은 경북도로 내려가기 전 행자부의 '국회 계장'과 '예산 계장'을 거치는 등 국회와 예산 사정에 모두 밝다.

당연히 경북도로선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경북 예천이 고향인 그는 "지방 분권화가 지자체의 자기 폐쇄성으로 변질돼선 곤란하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네트워크 체제를 구축하는 의미에서 지역 협력관 제도는 바람직하다"고 자신의 직분에 만족했다.

또 "차제에 '예산처 협력관'도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 중앙과 지방간 네트워크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 서기관은 "경북도에 와서 많이 배우고 있다"며 "중앙행정 중 국방과 외교 분야를 제외하고 지방을 모르고 국가행정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점을 절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중앙과 지방의 괴리감에서 비롯된 '탁상행정'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의 행정조직에 대해 그는 "경제통상 분야는 내부 혁신의 대표사례로 꼽을 정도로 수요에 맞게 조직돼 있으나 몇몇 전통적인 부서나 조직은 슬림화가 필요하다"고 소신을 밝혔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