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라크 전사 한인 미군에 '사후시민권'

입력 2004-12-20 13:03:05

이라크에서 작전 도중 전사한 한인 미군 고(故) 김정진(23) 이병이 이라크에서의 희생에 대한 보답으로 미국 정부가 수여하는 '사후시민권'을 받아 다시 한번 국내와 재미동포 사회의 심금을 울렸다

김 이병의 부인 김아영씨는 18일 하와이 호놀룰루 현지에서 남편에게 수여되는 사후 시민권을 '퍼플 하트' 및 '브론즈 스타' 훈장과 함께 고인을 대신해 받았다고 UPI통신이 전했다.

미군의 이라크전쟁 개시 이후 하와이 출신 병사로서 사후 시민권을 받기는 김 이병이 처음이며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미군으로선 37번째이다.

김 이병의 사후 시민권 획득이 국내와 하와이 동포사회에 심금을 울리는 것은 그의 가정의 안타까운 사연이 알려졌기 때문.

한국 태생으로 미국으로 유학 간 고인은 하와이 퍼시픽대학(HPU)을 다니다 부인 김씨를 만나 지난 2001년 8월 결혼했고 올해 4월 미군에 입대, 미 제 2사단 17포병단 제 2연대에 배치됐다.

하와이 호놀룰루 경찰을 꿈꿨던 고인의 입대동기는 미국 시민이 되겠다는 일념이었으며 미 시민권자로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기를 고대해 왔다고 미망인 김씨는 말했다.

'부부 군인은 같은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는 말에 미망인 김씨도 남편을 따라 입대, 동두천에서 고인과 잠시 생활했으나 남편이 이라크로 파견되자 첫아이를 가진 만삭의 몸이어서 이별을 해야 했다.

이라크 도착 직후인 9월 7일 아들이 태어났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김 이병은 부인과 아들을 두고 떠난 것이 몹시 마음에 걸린 듯 이라크 현지에서 부인에게 수시로 전화를 걸어 자신의 근황을 전하면서 부인을 안심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3대 독자였던 김 이병은 하와이말로 '전사'란 뜻의 이름을 지은 아들 '아폴로 이카이카'군이 태어난 지 한달 만인 10월 6일 안정화 작전 도중 저항세력의 총격을 받고 생후 1개월 된 아들의 얼굴도 보지 못한 채 영원히 눈을 감고 말았다.

미망인 김씨는 10월 20일 하와이 현지에서 거행된 남편 장례식에 먼저 보낸 남편과 아비 얼굴조차 못 본 아들에 대한 죄책감에 머리를 짧게 자른 채 나타나 조문객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