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동구 불로동 저소득 가정의 5살짜리 어린이가 굶어 숨졌다는 소식은 파탄지경의 민생(民生) 고통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단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문제는 단지 이런 '참변'이 없을 뿐이지 비참한 삶을 이어가는 극빈가정이 엄청나게 많지만 정부의 손길이 이에 못미치고 있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
숨진 어린이는 태어날때부터 장애아인데다 30대의 아버지는 노동일을 하다 일거리가 없고 아머니는 정신지체 장애인이었다. 게다가 삭월세 단칸방에서 5식구가 매일 한끼씩을 굶어야 할만큼 그야말로 남의 도움이 절박한 극빈가정이다. 그나마 이웃 불로성당 사회복지 신자들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이런 참변은 이미 오래전에 전가족들이 당했을지도 모를 지경이다.
실제 숨진 어린이를 발견한 것도, 2살짜리 동생을 굶어 죽기 직전에 가까스로 구한 것도 성당 신자들이었다고 한다. 이런 가정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 도움을 줘야 할 당해 구청이나 동사무소는 도대체 뭘했는지 참으로 원망스럽다. 더욱이 가장이 장애인 등록 문의까지 했지만 서류미비로 돌려보냈다니 '행정의 경직성'을 탓하지 않을수 없다. "동사무소 직원이 한번만이라도 현장방문만 했더라면 이런 비극은 충분히 막을수 있었다"는 성당 신자의 코멘트는 당국의 저소득층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난해에는 30대의 극빈주부가 약수터 물만 먹다 한달여만에 굶어 숨진 불행도 있었다. 정부의 저소득층 관리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 해야 한다. 실제 수급대상자보다 더 비참한 계층도 많다. '수급 조건'엔 미흡하지만 당국의 순간이 절박한 '사각계층'에 대한 배려도 있어야 한다.
쌀이 남아돌아 관리가 어려운 판국에 굶어 죽는 계층이 있다는건 정부 기능의 유기성이 결여돼 있다는 방증이다. 모두가 어려운 판국에 이웃에 손길을 돌릴 여유가 없겠지만 그래도 '여유있는 계층'이 솔선수범 해야 함을 이번 사건은 깨우쳐 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