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술 사상 최초가 경매 작품이 나왔다.
17일 오후 평창동 서울옥션하우스에서 열린 제92회 서울옥션경매에서 고려시대
에 제작된 '청자상감매죽조문매병'이 10억 9천만원(이하 수수료 별도)에 팔려 국내
미술품 경매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 작품은 앞면과 뒷면에 매화와 대나무 사이의 새를 상감기법으로 그려넣은 작
품으로, 7억원에 경매가 시작돼 이 같은 최고가로 개인미술관에 낙찰됐다. 기존 국
내 최고 경매가는 2001년 겸재 정선의 '노송영지'가 7억원을 기록한 것이 최고였다.
'청자상감매죽조문매병'은 일본에서 경매의뢰가 들어온 작품. 최고전성기에 제
작된 상감청자로 도자기의 형태, 맑고 투명한 비색 유약의 상태, 문양의 회화적 표
현이 빼어나다.
또 아랫부분에는 뇌문대(雷文帶)를, 입구 아래 어깨 부분에는 여의두문(如意頭
文)을 흰색으로 상감했으며 도자기의 형태 또한 완전하다.
이날 경매에서는 이 작품을 비롯해 총 19점이 낙찰돼 미국과 일본, 유럽 등지에
흩어져 있던 우리 고미술품들이 경매라는 합법적 수단을 통해 고국 품에 다시 안겼
다. 이번 경매에서 유찰된 고미술품 3점은 석파 이하응의 '묵란도', 어문 황철의 서
예작품, '청화백자추초문팔각병'이다.
당초 주목을 끌었던 '청화백자추초문팔각병'은 조선백자의 최고 전성기인 18세
기 금사리가마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최상급의 청화백자각병으로 이번 경매
에서 유찰돼 다시 일본 소장자에게 돌아가게 됐다. 이 작품은 96년 10월 뉴욕 크리
스티 경매에서 60만 달러에 낙찰됐다.
낙찰 작품 중에는 조선 선조 때인 1577년 그려진 '궁중계회도'(2억 7천만원)도
있다.
이 작품은 왕실에서 열린 왕족들의 모임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작품 상단에 조
선중기의 학자인 송인이 시문을 넣었고 참석자의 성명과 직책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