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빌 공동취재단 =연합)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자이툰부대 방문은 코드명 '동방계획'으로 극비리에 추진됐다.
이 계획은 노 대통령이 남미와 APEC(아태경제협력체) 순방 후인 지난달 25일 오전 김우식(金雨植) 비서실장과 권진호(權鎭鎬) 국가안보보좌관, 이종석(李鍾奭) 사무차장 등 NSC(국가안보회의) 고위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시작됐다.
이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유럽 순방 후 귀국길에 아르빌을 방문, 자이툰사단 장병을 격려하겠다"는 구상을 밝히면서 "실무적으로 검토해보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NSC 사무처는 합참과 외교부, 경호실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긴급 비밀준비작전에 돌입했다.
이어 노 대통령은 27일 NSC 측으로부터 1차 검토결과를 보고 받은 뒤 아르빌을 방문하기로 최종 결심, 철저한 준비를 최종 지시했다.
NSC는 곧바로 청와대 경호실과 합참 작전본부, 외교부 정책실 등 유관부처 고위간부로 준비팀을 구성, 은밀하게 실무준비를 진행했다.
'동방계획'은 노 대통령이 프랑스를 출국하는 8일 새벽 4시(이하 한국시간)에서 서울에 도착하는 9일 새벽 5시 30분까지로 모든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 같은 계획은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 정동영(鄭東泳) 위원장 등 NSC 상임위원들에게 보고됐다.
아울러 미국 정부에는 고위 외교채널을 통해 통보했고, 그후 합참본부장이 현지 다국적군 사령부에 다시 통보했다.
그러다가 12월 초 합참과 NSC, 경호실, 홍보수석실 요원 등 실무준비요원이 현지에 파견됐다.
이들 실무진은 방문 목적을 철저히 비밀에 부친 채 쿠웨이트 관계자들과 접촉, 항로조정과 행사협조, 경호준비 등의 세부절차를 협의했다.
실무진들의 준비과정에서의 애로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우선 아르빌 공항은 야간 관제시설이 미비, 주간(07:00-16 :00)에만 사용이 가능해 프랑스에서의 출발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이 난 것. 결국 아르빌에는 아침에 도착할 수 있도록 경유지인 쿠웨이트 도착시간을 새벽 5시경으로 맞추기 위해 프랑스 파리에서의 출발시간을 오후 8시로 고의 지연시켰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