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왜 이 지경까지…

입력 2004-12-01 16:54:01

교육부선 "대입 일정에 차질없다"

'수능시험 왜 이 지경이 됐나'

수능 부정행위 수사가 전국적으로 일파만파를 낳으면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통한 수능 부정행위 연루자가 100명을 넘어서고 대리시험 가능성까지 나오자 수능관리에 대한 학부모와 수험생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많은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도대체 수능관리를 어떻게 했기에 이 지경으로 혼란스러우냐"며 교육당국을 비난하고 있고 일부 수험생과 네티즌들은 수능시험 백지화와 재시험을 요구하는 극단의 목소리를 내는 판이다.

경찰은 1일 KTF로부터 전날 넘겨받은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20여명이 의심이 가는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했다는 단서를 추가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경찰이 SKT, LG텔레콤에서 넘겨받은 문자메시지 24만8천여건 가운데서 밝혀낸 부정행위 가담자 82명 외 추가로 파악된 것이어서 이번 수사를 통해 적발된 수능 부정 연루자 수는 1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꼬리를 무는 수능 부정행위로 인해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에 빠졌다.

수험생 이수형(19·대구 ㄷ고)군은 "3년 동안 고생하며 책과 씨름한 것이 억울하다"며 자칫 부정행위로 인해 선의의 수험생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우려했다.

맏딸이 이번에 시험을 치렀다는 학부형 유모(49·여·대구 수성구 지산동)씨는 "생각지도 못했던 수능부정 소식에 황당하다 못해 기가 막힌다"며 "교육당국이 책임져야 할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수능 재시험을 요구하는 학부모와 네티즌도 상당수다.

교육부 홈페이지에 고3 수험생의 아버지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이번 수능은 전면 무효"라며 "수능 백지화를 선언하라"는 글을 남겼다.

한 포털사이트에 아이디가 'heemang39'라는 네티즌은 "재시험만이 대안이며 그렇지 않고는 수사가 종결돼도 불신과 후유증이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

교원단체도 경찰의 철저한 수사와 함께 '수능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며 '자격고사화' 등 입시제도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30일 교총은 "부정행위 재발방지대책과 함께 수능의 자격고사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전교조는 "부정행위가 광범위하게 이뤄진 사실이 드러나면 재시험 등을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인적자원부는 재시험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교육부는 30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오는 6일까지 부행행위자 처리를 일단 마무리해 수험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추후 부정행위의 재발방지를 위한 각종 대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부정행위자는 시험 자체가 무효 처리될 뿐 아니라 표준점수 산출 등을 위한 모집단에서 빠지게 되며, 추후 일부 부정행위가 적발돼 표준점수 등의 산출에 포함되더라도 이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수치"라며 "2일부터 대책 회의를 통해 전파차단기나 전자검색대, 금속탐지기 설치 등 기술적인 수능부정 방지 방안과 시험관리 개선 방안 등에 대해 본격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회1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