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광장-'태양도시' 대구의 과제

입력 2004-12-01 08:54:16

세계솔라총회가 성황리에 대구에서 막을 내렸다.

특히 '대구선언'을 이끌어 냄으로써 지방분권화 시대에 걸맞은 지방 도시로서는 최초로 세계도시의 재생에너지 활용증진에 대한 합의와 역할을 이끌어 냈다는 점이 평가할 만하다.

또한 '그린에너지 엑스포'를 개최하여 다양한 재생에너지 사업과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고 특히 교세라 등 세계적인 태양광발전이나 재생에너지 업체들도 참여했다는 점은 높은 점수를 받을 만하다.

대구가 태양도시(솔라시티)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먼저 태양도시는 시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현재 대구시가 추진 중인 태양도시 사업은 거의 하드웨어에 집중되어 있다.

신천하수종말처리장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고 대구하계U대회 선수촌아파트와 EXCO 전시컨벤션센터에 태양광발전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태양도시는 생태도시를 지향한다.

생태도시란 자연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하는 도시를 말한다.

현재의 공공기관 중심의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도 필요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태양도시 정책이 필요하다.

NGO를 통해 시민들이 태양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시민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고, 교육청과 협력해서 유치원부터 모든 교육과정에 재생에너지나 태양광발전에 대한 교육과 사용이 몸에 배도록 하는 교육과 실천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이번 '그린에너지 엑스포'를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단 3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

이런 훌륭한 재생에너지 교육의 공간을 주말을 끼고 개최하여 학생들과 청소년에게 개방했다면 정말 산교육의 장이 될 수 있었을 텐데….

대구시의 에너지행정체계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에너지계를 두고 있지만 에너지 전문가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광주광역시도 역시 에너지계를 두고 있지만 담당계장 1인이 8년간 전적으로 에너지 관련 업무를 맡아서 국제회의에 참석해서 성과를 발표하고 광주의 태양도시 계획의 입안에 직접 참여하고 전문가 교수들에게 자문하는 체제로 해서 아주 성공적으로 행정이 주도해서 많은 중앙정부 예산과 프로젝트를 따오고 있다.

올해 지역에너지 사업에서 중앙정부에 광주는 50건의 사업을 신청했지만 대구는 초기에는 1건의 신청도 없었다는 통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광주의 에너지사업 행정을 벤치마킹하라.

현재 광주에서 거의 완공단계인 그린빌리지 사업을 대구도 유치해야 한다.

이를 좀더 발전시켜 그린빌리지에 사는 지역주민들은 생태도시를 지향하고 태양광발전뿐만 아니라 생활자체를 친환경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대구 인근의 가창이나 팔공산 주변의 마을을 그린빌리지로 지정해 이 마을에서는 모든 전기에너지는 태양이나 재생에너지로 사용하고 농사도 유기농으로 짓도록 유도하고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살아가는 생태마을로 조성하자.

대구시도 중앙정부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제1회 태양도시총회를 유치했고 '대구선언'을 이끌어낸 뜻깊은 도시인만큼 자체적 태양도시 예산을 편성하여 사업을 해야 한다.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서울처럼 시민태양광발전소를 설립하자. 시민들이 출자해서 조합을 구성하고 태양광발전소를 돌려 남는 전기를 판매하고 남는 이익금은 시민에게 돌려줄 수 있다.

또한 일본처럼 그린펀드를 조성하여 환경시설이 들어서는 곳은 반드시 친환경적인 재생에너지 시설로 전기도 만들고 가로등도 켜게 할 수 있다.

현재 전기료 체납으로 전기를 쓰지 못하는 세대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의 약 4%에 달하고 있다.

이들에게 태양광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이런 시설의 관리는 지역의 환경단체가 맡는다면 이야말로 태양도시가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고도 남지 않을까?

지상화하는 KTX 대구통과노선에 방음벽 대신 태양광발전 솔라패널(모듈)을 설치한다면 대구가 태양도시란 점은 굳이 홍보할 필요도 없을 법하다.

하지만 태양도시는 시민이 만들어가는 도시라는 점이 핵심이다.권오상 상주대 교수·행정학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