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과 바람 불이 만든 독
어린 시절, 시골 집의 마당 한구석 장독대에는 크고 작은 장독이 가지런히 놓여있었다.
가끔 호기심이 발동해 부모님 몰래 무거운 장독 뚜껑을 열면 된장 고추장 간장 익는 짭조름한 냄새가 코끝을 찔렀다.
김장철 어머니가 갓 버무린 김치를 독에 차곡차곡 넣어 땅에 묻어놓으면, 겨우내 먹을 김치는 그렇게 잘 익어갔다.
하지만 이제는 많은 사람이 장독 대신 슈퍼마켓에서 된장 고추장을 사다 먹는다.
어느덧 점점 사라져가는 투박한 독, 그 그릇들을 통틀어 옹기라 부른다.
청송읍 소재지에서 안동 방면으로 국도 31호선을 따라 13km쯤 가다보면 진보면이 나온다.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5호인 이무남(66) 옹기장이 터를 잡고 있는 곳. 청송옹기(054-870-6271) 대표인 이씨는 45년 동안 고집스럽게 옹기만 구워왔다.
'옹기 제작과정을 알려달라'고 말하자 이씨는 신이 났다.
18세때 상주에서 시작한 옹기일, 그동안 수십번도 더 설명했겠지만 누가 물을 때마다 신이 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오색점토(적· 황· 청· 백· 흑색) 캐온 흙을 물반죽하고, 다림질(물에 개어 이기는 것)합니다.
"
흔히 옹기장들은 거친 흙을 남자, 고운 흙을 여자에 비유한다.
남자와 여자가 한몸이 되어 새 생명을 낳듯, 두 흙이 잘 섞여 튼튼한 그릇이 된다.
선이 곱고 미끈한 사기와 달리 모양과 질감이 거칠고 투박한 것이 옹기의 특징이다.
좀 거친 흙을 쓰는 것은 입자 사이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속에 든 음식이 상하지 않고 잘 발효하게 하려는 것이요, 두껍고 투박한 것은 서민들의 생활과 늘 함께하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빚어 놓은 옹기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어느 하나 똑같이 생긴 것이 없다.
하나하나 손으로 빚고 두드려 만들었기에 대칭이 완벽하게 맞지는 않지만 그래서 더 친근감이 있다.
마치 한 배에서 나고도 저마다 모습과 성격이 다른 형제자매들처럼….
천천히 달구어지는 가마 안에서 일주일 넘게 1천250℃의 열을 견디어 완성되는 옹기들이지만 온전한 모양새로 세상빛을 보는 것은 열에 예닐곱뿐이다.
기계식 가마에 나무가 아닌 가스를 때서 만들면 일손도 덜 들고 그릇이 깨질 일도 없다.
하지만 공기를 통하게 해 장맛을 깊고 진하게 해주는 미세한 숨구멍을 그대로 보존하려면 천연의 나무만한 재료가 없다.
옹기장 이씨가 정성스레 불을 피운 가마 속에서 긴 단련의 시간을 이겨낸 그릇만이 음식의 깊은 맛을 내는 '명품'이 된다고 했다.
한때 이씨 가족도 이 일을 접으려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우직하게 수작업을 고집해 온 정성이 알려지면서 이곳 가마터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아들은 전통 옹기의 멋을 연구하고 되살리는 일에 열중하며 오늘도 가업을 이어간다.
"플라스틱 그릇과 도자기가 판을 쳐 힘들다"고 하지만 사실 청송 옹기는 주문 제작만 하며 판로도 탄탄한 편이다.
이씨는 아들 호영(37)씨가 있어 늘 든든하다.
자신도 벌써 3대째이지만 호영씨도 일찌감치 이 길로 들어섰다.
너무 힘들고, 채산성도 떨어져 마음이 없으면 불가능 한 일임을 알기 때문에 더욱 고맙다.
"사람을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빚어내시고 알맞은 불과 연료와 바람으로 단련하는 하느님의 오묘한 섭리를 문득 물레 앞에서 떠올리게 됩니다.
" 청송·김경돈기자 kdo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