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파업, 대구시 대응 및 지자체 대응

입력 2004-11-06 10:01:03

대구시와 구·군청은 전국공무원노조(이하 전공노)의 파업과 관련,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이를 막는다는 방침을 세워 전공노와의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구시 배광식 행정관리국장은 5일 "시는 정부 방침에 따라 전공노의 불법 행동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할 것"이라면서 "시민불편과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불법행동에 참가하는 공무원에 대한 중징계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또 시는 이날 오후 검찰, 경찰 관계자들과 함께 파업관련 대책회의를 갖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시는 경찰에게 6일 오후 2시 대구시 일원에서 열리는 전공노 결의대회 자체를 원천 봉쇄할 것과 9, 10일 파업 찬반투표에 참가하는 공무원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체포해 줄 것 등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시는 각 구·군청에 결의대회에 참가하는 직원들에 대한 연가·외출을 일절 금지하고 자체적으로 대회 참가자를 파악, 중징계토록 했다.

특히 시는 전공노 활동과 관련된 직원 15명에 대해서는 서둘러 징계절차를 밟아줄 것을 구·군청에 요청했다.

징계 대상자는 지난 31일 서울에서 열린 노동자대회에 참가했다 경찰에 연행된 7명, 행정자치부가 징계를 요청한 2명, 지난달 28일 대구지하철파업 집회에 참석한 6명 등이다.

또 시 감사실은 동구청 간부 직원 20여명이 전공노 파업기금 10만원씩을 낸 것으로 보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감사실 관계자는 "이들은 모두 5급(사무관) 이상 간부들이고 현재 명단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는 전공노에 소속된 8개 구·군과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대해 파업에 대비한 종합대응계획을 수립토록 했다.

민원, 인·허가, 사회복지 부서에는 지원부서 인력과 간부공무원 등을 투입하고 상·하수도, 쓰레기 업무 등은 민간업체에 임시 위탁처리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사회1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