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교육훈련단이 훈련병들의 올바른 식생활과 고른 영양섭취를 위해 '김치먹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김치먹기 운동은 최근 신세대 장병들이 햄버거와 피자 등 패스트푸드에 익숙한 식생활과 편식 성향으로 인한 영향섭취 불균형으로 체격에 비해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체력 저하는 곧 전투력 약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신세대 훈련병들의 식생활 문화 또한 세월 따라 서구식 입맛으로 변화되고 있다.
요즘 갓 입대한 훈련병들의 경우 햄버거나 돈가스 같은 서양음식이 제공되면 잔반을 남기지 않지만, 된장국이나 김치 같은 전통음식이 나오면 많이 남긴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교육훈련단은 신세대 장병들의 올바른 식생활과 고른 영양섭취를 제공하고 채소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김치먹기 운동'을 전개하며 장병들에게 전통음식 섭취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또 '영양만점 김치최고' 등의 현수막을 제작, 부대 곳곳에 게시해 김치에 대한 훈련병들의 호응도를 높이고 있으며 쇠고기김치볶음이나 김치찌개같이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식단을 제공해 김치에 입맛을 들일 수 있도록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단은 지난 9월부터 훈련병들을 대상으로 김치의 맛과 효능에 관한 집체교육을 실시했으며 훈련병들이 수첩식 교재를 제작해 휴대하도록 했다.
이러한 교육 결과 하루 평균 10~15%의 김치가 잔반으로 남던 것이 김치 먹기 운동 2주차에는 남는 김치가 거의 없어졌고, 3주차 이후에는 김치가 전혀 남지 않았을 뿐 아니라 훈련 때에는 김치 부족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다는 것.
김용석(22) 훈련병은 "입대 전에는 김치를 거의 먹지 않았는데, 교육을 통해 김치의 효능을 알고 난 다음부터는 의식적으로 김치를 많이 먹고 있다"며 "지금은 김치의 맛에 중독돼 김치가 없으면 밥이 넘어가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스페인 영주권자로 해병대에 입대한 안 에스테반(21) 훈련병은 "김치를 알면서 한국을 더 잘 알게 됐다"며 "김치가 세계적인 음식임이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부대는 앞으로 김치 소비 활성화를 위해 '김치사랑체험담 공모전'이나 취사병을 대상으로 한 '베스트 김치요리사 선발대회'를 개최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