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경기 침체의 여파로 경차와 소주 출하량이 크게 늘었다.
31일 통계청이 작성한 '품목별 내수출하량'에 따르면 지난 9월 경승용차의 내수출하량은 3천895대로 작년 같은 달보다 76.1% 증가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된 데다 고유가 현상까지 겹치면서 유지비가 저렴하고 세제 등의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경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이다.
이에 비해 고급차인 대형승용차는 5천968대로 작년 같은 달보다 9.5% 줄었고 경차로 수요가 대체된 소형차는 작년 대비 28.2% 감소했다.
지난 8월 출하량 증가율이 6.3%에 그쳤던 중형승용차는 신차출시 효과가 반영되면서 18.1% 늘어난 2만2천377대가 출하됐다.
경기침체 여파로 '서민의 술'인 소주는 올 상반기 출하량이 크게 증가한 데 이어 9월에도 작년 같은 달보다 7.2% 증가한 8만9천832㎘가 출하됐다.
올 상반기 소주 출하량은 작년 상반기보다 6.6% 증가한 54만9천49㎘로 반기기준으로 99년 하반기의 55만2천㎘에 이어 사상 두번째로 많았다.
청주와 위스키는 각각 113.5%와 23.1%의 증가율을 나타냈으나 이는 추석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는 게 통계청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편 TV는 구·신제품간 세대교체에다 특별소비세 인하효과가 가세하면서 첨단평판디스플레이(FPD) TV 출하량이 7천313대로 작년 같은 달보다 85.4% 늘어난 반면 컬러TV는 32.8% 감소한 15만4천27대를 기록했다
특소세 인하의 최대 수혜품목으로 기대를 모았던 에어컨은 가을철로 접어듦에 따라 수요가 급감하면서 특소세 인하의 효과를 보지 못했다.
룸에어컨은 작년 같은 달보다 32.4% 감소한 1만3천127대가 출하됐고 패키지형에어컨은 8천393대로 작년대비 39.2% 줄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