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열린우리당은 노후화로 환경오염 문제를일으켜온 한국종단송유관(TKP)에 대한 토양오염 실태를 조사, 오염된 지역은 모두복원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당정은 또 TKP 452km 구간 중 내년 4월 폐쇄 예정인 348km를 모두 철거하기로원칙적으로 합의했으나, 건물이나 고속도로 아래 등 철거가 불가능한 구간은 관 내부를 세척한 뒤 그대로 두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정은 이와 함께 송유관 설치로 무단점유해온 사유지 87만평에 대해 재산상 피해 배상을 해주고, 폐쇄 구간은 땅 주인에게 반환하는 한편 계속 사용할 구간에 대해서는 토지를 매입하기로 했다고 당 정책위 핵심관계자가 말했다.
당정은 그러나 배상 액수와 범위 등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 접근을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TKP는 주한미군이 1970년 경북 포항∼경기 의정부 452km 구간에 매설한 송유관으로 서울 강남∼의정부 46km 구간은 1993년 폐쇄됐고, 강남∼포항 405km 구간에서월평균 104만 배럴의 주한미군과 SK㈜의 유류를 운송해왔다. TKP의 소유권은 1992년미군에서 한국 정부로 이양됐다.
당정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박선숙(朴仙淑) 환경차관과 유효일(劉孝一) 국방 차관, 안영근(安泳根) 제2정조, 이목희(李穆熙) 제5정조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협의회를 열어 이같은 방안들을 논의해 확정한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