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학교 재단들이 학생'교사'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들에게 경영권을 일부 이양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학교를 폐쇄하겠다고 나서 이 법안을 둘러싼 마찰음이 증폭되고 있다.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한국사립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 등 전국 1천200여개 사학 재단이 소속돼 있는 9개 사학재단협의체들은 어제 이 같은 골자의 공동성명서를 냈다.
사학 재단들은 개방형 이사제 도입과 학교운영위원회 심의기구화, 교수(사)회'학부모회'학생회'직원회의 법제화 조항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개방형 이사제는 전교조 등이 학교 경영권에 개입해 운영을 좌우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결사적으로 저지하려는 태세다.
이들의 선언대로 치닫는다면 문제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학교 재산은 공익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지만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고, 출연 자산 배상 소송이 이어져 혼란이 가중될 것도 뻔한 일이다.
더욱 안타까운 점은 극단적인 힘 겨루기 양상이다. 사학 측에서는 사유재산의 사회 환원을 추진하는 '사회주의 입법'이라고 반대하는가 하면, 정부'여당은 사학의 투명성'민주성'공공성을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우리는 이미 획일적 규제는 건전한 사학 육성 의욕을 꺾어 그 존립마저 위협하고, 결국 그 피해는 학생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교육이 혼란이 빠지고 학생들에게 피해가 돌아가서는 절대로 안 될 일이다. 사학이 경쟁력과 다양성을 갖춘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투자를 유인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나가는 게 옳다. 이번 사학법 개정안은 사학 재단의 독자적인 경영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재검토돼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