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연방내의 북(北)오세티야에서 1일 발생한 인질극의 배후로 거론되는 체첸 반군은 지난 94년 말 자신들의 분리독립운동을 저지하려는 러시아군이 체첸에 진주한 지 6개월만에 첫 대규모 인질극을 벌이면서 대(對)러시아 항전을 시작했다.
체첸 반군은 이듬해 6월 체첸 변경지역인 부드요노브스크시(市)의 한 병원에서 2천여명을 인질로 잡고 6일간 대치했으며 이 와중에 민간인과 경찰,군인 등 100여명이 사망했다.
체첸 반군은 러시아 정부와 평화협상을 진행하는 척 하면서 협상 기간을 이용해 그룹을 재정비하는 등 세력을 다시 강화했다. 당시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체첸반군에 재무장의 기회를 주었다는 이유로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체첸 반군들은 국제구호단체 요원, 언론인, 기업가 등 대상을 가리지 않고 인질극을 벌이며 테러 항쟁을 지속하고 있다.
이들이 인질극을 벌이는 주요 대상은 병원,극장,지하철,학교 등 연성 목표물(soft target)이다. 또 테러로 표출되는 항쟁에 남편과 가족을 잃을 여성들이 적극 가담하는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다음은 체첸 반군이 감행한 주요 인질사태 개요.
▲ 1995년 6월 = 러시아 남부도시이자 체첸 변경지역인 부드요노브스크의 한 병원에서 2천여명을 인질로 잡고 6일간 러시아 군경과 대치중 러시아 특공대의 강경진압 시도로 민간인과 경찰, 군인 등 100여명이 사망했다.
▲ 1996년 1월 = 체첸 반군 지도자인 고(故) 살만 라두예프를 정점으로 하는 체첸 무장 반군 약 250명이 러시아 남부 다게스탄 자치공화국의 키즐야르시(市)의 한 병원을 습격해 약 3천명의 민간인을 인질로 잡고 러시아군의 체첸 철수를 요구하며대치, 78명이 사망했다.
▲ 1998년 8월 = 1차 체첸전쟁이 종료되면서 체첸은 무정부 상태로 빠져들어 갔고 이어 개별 인질극이 횡행했다. 1998년 9월에는 국제구호요원인 영국인 카밀라 카가 인질로 잡힌 지 1년만에 석방됐고, 이어 4명의 엔지니어가 인질로 잡혔다가 석방된 것으로 보도됐으나 나중에 참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 1999 7월 = 미국인 선교사 허버트 그레그가 인질로 잡힌 지 7개월만에 석방됐다.
▲ 1998년 = 크롤 어소시에이츠 UK라는 보안업체는 1998년 한 해에 체첸에만 약 100여명의 외국인이 인질로 잡혀 있다고 발표했다.
▲ 2001년 3월 = 터키 이스탄불에서 모스크바로 향하던 러시아 브누코브 항공사 소속 투폴례프(TU)-154 여객기가 공중 납치돼 사우디아라비아의 메디나 공항에 강제 착륙됐으며 사우디 보안군이 여객기에 난입하자 3명을 사살했다.
▲ 2001년 4월 = 사우디 여객기 납치 사건 발생 1주일후 체첸계 터키 무장괴한들이 이스탄불의 한 스위스계 호화 호텔에 침입해 120명을 인질로 잡고 대치하다 12시간만에 전원 풀어줬다.
▲ 2001년 7월 = 러시아 남부에서 한 체첸인이 30명이 탄 버스를 납치하고 복역중인 체첸반군 5명의 석방을 요구 조건으로 러시아 군경과 대치했다.
▲ 2002년 5월 = 한 무장 체첸인이 이스탄불의 한 호텔에서 10여명을 인질로 잡고 터키군과 대치했으나 나중에 인질은 모두 석방됐다.
▲ 2002년 10월 = 러시아인들의 기억에 각인된 체첸 인질극 중 가장 악랄한 사건. 체첸 무장 반군들은 모스크바의 한 오페라극장에 침입해 700여명의 관람객을 인질로 3일간 군경과 대치하던 중 러시아 진압군이 인질범들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독가스를 사용하는 바람에 관람객 129명과 인질범 41명 등 모두 170명이 숨졌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