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좌우대립에 묻힌 역사 발굴" 의미

입력 2004-08-26 14:26:04

'좌파 독립운동가 복권' 논란 일 듯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과거사규명의지가 일제시대의 좌파 독립운동으로까지 확대됐다.

노 대통령은 25일 독립유공자와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 오찬을 함께하는 자리에서 "좌우대립의 역사때문에 묻어둔 역사를 발굴하고 포상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일제식민통치시대에 좌익활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그동안 독립유공자로 선정되지못했던 좌파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을 재조명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면서 적잖은 파장을 예고했다.

그동안 국가보훈처는 좌익활동에 참여했던 독립운동가들에 대해서는 독립유공자심사에서 탈락시켜온 것이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몽양 여운형(呂運亨)'선생의 경우 올해 광복절을 앞두고 정부는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추진했으나 해방 이후 근로인민당 당수로 활동하는 등의 좌익활동전력으로 인해 논란이 일자 유보했다.

김종민(金鍾民) 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 과거 사회주의 좌파의 독립운동도 밝혀져야 한다는 의미냐는 지적에 대해 "일제통치에 항거했느냐가 유일한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한 것"이라면서도 "구체적 사례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나라당 등 야권은 "노 대통령이 계속 과거사규명문제에 대해 정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좌파독립운동가에 대해서도 공과를 함께 따지자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노 대통령은 "경제를 핑계대 국가적이고 역사적인 사업들을 회피해 가려는 기도는 또다시 용납돼선 안된다"면서 과거사 규명작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거듭 천명했다.

"경제살리기와 과거사 규명이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며 경제를 살리는 일은 대통령이 책임질 테니 걱정하지 말고 과거를 규명해 민족 정기를 바로잡는 게 의미있는 일"이라는 것이다.

좌파독립운동가에 대한 복권추진은 일제시대의 친일청산논란에 이어 이념대결양상으로 확전되면서 국가정체성논란을 가열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서명수기자 diderot@aimaeil.com사진: 25일 오후 열린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가 국가보안법 폐지를 반대하는 재향군인회 및 성우회 소속 회원들의 항의 방문을 받아 면담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