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유가 시대 에너지 절약 대책을 내놓았다.
에너지 정책 부재에 대한 언론의 질타 후 나온 대책이어서 때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다행이다.
어제 국가에너지절약추진위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단기대책으로 교통 혼잡 때문에 생기는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공직자 탄력근무제를 실시하고, 간선급행버스 체계를 도입하며 에너지 절약 가정에 현금 지원을 한다는 것이다.
장기대책으론 전기.휘발유 겸용인 하이브리드차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2006년부터 공공기관의 구입을 의무화하고, 에너지 절약 기업에 시설개선 자금 우선지원 등 각종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이들 대책 가운데 새로운 것은 공공기관 탄력근무제 도입과 하이브리드차 우선 상용화뿐이다.
간선버스 체계나 에너지 절약 가정 '캐시 백'제 도입, 에너지 절약 기업 지원대책은 이미 실시하고 있거나 내년부터 시행키로 계획돼 있던 것들이다.
본란은 정부의 에너지 절약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공직자의 출퇴근 시간을 조정해 에너지의 낭비를 막는다고 하지만 얼마만큼 잘 지켜질지도 걱정이고, 자동차 10부제나 일반.공공기관 청내 전기소비 절약운동보다 효과가 더 있을지도 의문이다.
더욱이 하이브리드차의 상용화를 앞당기겠다는 발상도 실용화 검증이 덜 된 마당에 파급효과가 어느 정도 있을지 걱정된다.
에너지 자원 고갈시대에 석유 전량 수입국이 할 수 있는 길은 범국민적 절약운동 밖에 없다.
대낮인데도 공공기관이나 상가들의 불이 켜져 있고, '나홀로' 차량이 줄을 잇고 있어서는 에너지 절약은 공염불이다.
참여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무엇이든 혁신해야 한다는 관념에 사로잡혀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기존의 대책마저 소홀히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