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옥죄는 신의장 사퇴

입력 2004-08-18 11:57:22

열린우리당 신기남(辛基南) 의장의 사퇴가 한나라당에게는 독일까 약일까.

신 의장 부친의 일본군 헌병 복무 사실이 드러나자 신 의장의 도덕성을 문제삼으며 열린우리당에 일제히 역공을 취했던 한나라당이 막상 18일 신 의장의 사퇴설이 나돌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열린우리당이 신 의장의 사퇴라는 '살을 주고 뼈를 깎는' 전략을 택함으로써 과거사 규명문제에서 한나라당을 더욱 궁지로 몰 수 있는 전략적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됐다고 보고 있다.

즉 한나라당에도 이와 같은 책임지는 자세를 요구하면서 박근혜(朴槿惠) 대표 사퇴의 당위성을 주장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이 신 의장 부친의 전력이 드러나자 신 의장을 강하게 공격하면서도 그의 사퇴 문제에 대해서는 함구하거나 오히려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인 것은 바로 신 의장 사퇴가 안고 있는 이같은 폭발성 때문이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17일 더 나아가 "우리 모두의 아픈 역사다.

열린우리당은 '악재'라고 정치적 반응을 해서는 안된다"면서 "신 의장을 희생양으로 삼아 책임지라고 벼랑끝에서 몰아세워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의 이러한 곤혹스러움은 18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남경필(南景弼) 의원은 "열린우리당은 신 의장이 사퇴하면 자신들은 깨끗해져 야당공격의 자격이 생긴다는 식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다른 참석자들은 신 의장 사퇴문제에 대해 언급이 없었다.

더 큰 문제는 신 의장의 사퇴라는 극약처방을 중화시킬 수 있는 방책이 없다는 점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