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코오롱 직장폐쇄 배경과 향후전망

입력 2004-08-18 10:35:53

코오롱 구미공장 파업사태가 두달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회사측이 18일 '직장폐쇄'라는 초 강경수를 던짐에 따라 앞으로 엄청난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번 코오롱 사태는 사측의 범용 원사설비 생산설비 감축에 대해 노조는 이같은 일련의 방안이 곧 인력 구조조정을 위한 사전 포석으로 받아들이고 반발하면서부터 양측간 반목의 골이 깊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사양산업인 원사 생산설비 축소 및 가동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화섬업계는 코오롱의 구조조정 방침과 노조의 고용보장 요구가 상충돼 빚어졌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하는 등 향후 결과에 따라 동종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사측은 이미 경쟁력을 상실한 폴리에스테르 범용 원사 생산설비를 폐쇄하는 대신 이로인해 발생하는 205명가량의 구조조정 인원의 고용보장을 위해 현행 3조 3교대 방식의 근무형태를 4조3교대로 전환하자는 내용 등이 담긴 신규투자안을 노조측에 제시했다.

그러나 이에대해 노조측은 전 노조원의 고용보장을 전제로 4조3교대가 현실화될 경우 임금삭감 등 근로조건 저하가 불가피해 회사측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거절했다. 특히 노조는 사실상 근무형태가 4조3교대로 바뀔경우 노조원 1인당 평균 월 70만원 가량의 임금손실이 발생한다는 주장을 폈다.

노조측은 장기파업을 풀지않고, 회사측은 직장폐쇄를 결정하는 등 코오롱 구미공장 안팎에서는 '양쪽 다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넜다'는 시각이 팽배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타 노조파업에서 보아왔듯이 결국은 공권력이 투입돼 물리적인 해결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휴유증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미 사측으로부터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된 노조간부들이 줄줄이 사법처리가 예상되고 있고, 또 사측의 손해배상소송 등 잡음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회사는 회사대로 자체적인 사태수습을 외면한채 경찰력을 동원해 물리적으로 파업 사태를 해결했다는 부담을 안고 가야해 후유증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