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감사 내달중 마무리...의미·파장
국민의 정부가 1999~2003년 국비 3천670억원을 투입, 국책사업으로 추진했던 1단계 밀라노프로젝트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9월 안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여 감사대상 기관인 대구시와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등은 이번 감사가 몰고 올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감사원은 지역의 관련 기관은 물론 산업자원부까지 감사대상에 포함시켜 지난 4월부터 예비감사를 실시한데 이어 외부 전문가들을 동원, 7월 5일부터 23일까지 대구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등에서 상주하면서 광범위한 조사를 진행, 현재 종합검토작업만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감사 쟁점 사항
감사원은 산자부가 1단계 밀라노프로젝트를 충분한 사전 조사 없이 급조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대구시에 대해서는 밀라노프로젝트 최대사업인 동구 봉무동에 조성중인 패션어패럴밸리(35만평) 타당성 조사 소홀을 문제삼고 있다.
감사원은 또 부지조성 장소와 규모 이외의 기타 세부계획이 명시되지 않아 5년이 지났는데도 국비 700억원만 투입됐을 뿐 민자(856억원)와 시비 지원이 전무한 것도 지적하고 있다.
또한 감사원은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의 정보화사업에 대해서도 중복성, 업계이용률 저조 등 문제로 국비지원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으며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염색실용화센터(84종 88대), 니트시제품센터(41종 44대) 경우 장비도입의 적절성과 업계활용도 여부에 감사를 집중했다.
이밖에도 감사원은 패션 인프라를 고려할 때 밀라노프로젝트는 수도권에서 실시됐어야 한다는 시각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섬유업계 입장
이에 대해 대구시와 섬유업계는 어떤식으로든 '과거청산'은 필요하지만 이미 국가예산 925억원이 투입되는 2단계(2004~2008년) 밀라노프로젝트가 출범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감사의 초점이 맞춰질 경우 국비축소 등으로 대구.경북 섬유산업을 더욱 침체시키고, 기 투입 예산의 효과를 반감시킬까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감사원이 특별히 감사를 하지 않더라도 매년 산업자원부가 실시한 전문가 감사에서 지적된 내용을 충분하게 검토, 이행했더라면 뒷북을 치지 않아도 됐을 것이라는 게 업계 측 견해다.
수도권에서 밀라노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했었다는 감사원 지적에 대해서는 밀라노프로젝트는 제직.염색.패션 등 전 분야에 걸쳐 추진된 것으로 패션분야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보다 빈약할 수 있지만 직물.염색산업 인프라는 대구가 국내 어느 지역보다 풍부하다며 반론을 제기했다.
시 관계자는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이미 국비가 지원된 만큼 사업추진에는 문제가 없다.
지금와서 섬유산업의 고부가가치를 결정하는 패션산업 진흥작업에서 손을 뗄 수는 없다"면서 "이번 감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개선, 2단계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업계의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