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 있는 피서지, 욱수골을 아시나요."
대구월드컵경기장과 덕원고등학교를 지나면 욱수천이 흐르고 이곳을 따라 나서면 폭 2m 남짓한 호젓한 길이 병풍처럼 생긴 병풍산의 욱수 골짜기로 이어진다.
이 골짜기가 바로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욱수(旭水)골. 욱수골의 욱수천은 흐르는 개울물이 맑고 깨끗해서 붙여진 이름. 단골 산행객을 제외하곤 그 동안 널리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조용하고 가까운 곳이라 여름철 불볕 더위를 식히기엔 '안성맞춤'이다.
좁은 길을 따라 욱수천을 끼고 산골짜기로 올라가면 계곡 주변 여기저기서 피서를 즐기는 시민들을 만날 수 있다.
대부분이 매년 이곳을 찾는 단골 피서객들이거나 이들의 손에 이끌려 온 사람들이다.
욱수골 입구 부근에서 ㅇ식당을 운영하는 서홍자(47)씨는 "다른 피서지에 비해 덜 알려진 곳이라 아직 찾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여름철이면 텐트가 늘어선다"며 "요즘은 평일에도 저녁 무렵이 되면 사람들이 꽤 보인다"고 전했다.
몇년 전부터 매년 이곳을 찾고 있다는 박경혈(35)씨는 "가까운 곳에서 여름휴가를 보내고 싶어 두 딸과 조카를 데리고 이곳을 찾았다"며 "조용한데다 물이 깊지 않아 아이들이 놀기에도 위험하지 않다"고 말했다.
입구에서 차를 몰고 5분쯤 올라가면 욱수지가 나온다.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들에게는 지상천국. 내리쬐는 햇살을 받아 반짝이는 풍경이 황홀하기까지 해 이곳이 대구인지 의심할 정도라고 낚시꾼들은 전했다.
욱수골을 품고 있는 자양산과 성암산에도 등산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자양산에는 임진왜란 때 박응성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울 때 쌓은 자산성터가 지금도 당시의 처절했던 이야기를 간직한 채 1천800m 정도 남아 있다.
자양산 동쪽의 성암산은 해발 468m로 임진왜란 때 향교의 머슴이었던 강개명이 향교의 위패를 바위굴 속에 숨겨 왜란을 피할 수 있게 되자 나라에서 '성스러운 바위산'이라며 붙여준 이름. 수성구청 관계자는 "이 지역의 산이 그리 높지 않아 등산하기에도 좋다"며 "물도 깨끗해 앞으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