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전의 일입니다.
수습기자 시절, 난생 처음으로 법원에서 재판을 지켜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개정중'이라는 팻말을 보고 법정 한 곳에 들어갔는데 절도 피의자가 재판을 받고 있었지요.
잠시 후 검사가 조용하게 일어나 단 한마디만 하고는 자리에 털썩 앉았습니다.
귀를 쫑긋 세우지 않았더라면 '징역 3년'이라고 구형하는 말을 놓칠 뻔했지요.
곧바로 변호사가 일어나 변론을 하는데 1분이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몇마디를 했는데 반쯤은 들리고 반쯤은 들리지도 않았지요. '잘못을 뉘우치고 있으니 선처를 바란다'는, 틀에 박힌 말이었던 것 같습니다.
당시 기자는 내심 적잖게 흥분을 했습니다.
한 사람의 삶을 결정짓는 일인데 저렇게 무성의하게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지요. TV에서 보아온 미국 법정의 열띤 공방은 기대하지 않았지만, 당연히 변호사가 정성껏 변론을 할 것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법원을 출입하는 요즘, 그 당시를 생각하면 혼자 빙긋이 웃음을 짓게 됩니다.
몰라도 한참을 몰랐던 것이지요. 피의자와 변호사가 모두 혐의를 인정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의 말이나 행동은 불필요했던 것이지요.
법조계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선수들끼리 무슨…"
판사와 검사, 변호사 사이에 정답은 이미 나와 있는데 말을 더해 봤자 사족에 불과하다는 의미이겠지요. '구두변론'을 원칙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서면주의'를 더 중시하는 재판 시스템 때문입니다.
판사들은 말보다는 변호사가 제출한 변론요지서를 꼼꼼하게 챙겨보면서 판결문을 쓰는 게 보통이지요. 재판기록에도 신문과정은 모두 기록되지만, 변론은 단 한마디도 기록되지 않는 게 관례랍니다.
한 변호사의 얘기입니다.
"무죄를 다투거나 특별한 사건이 아닌데도, 장황하고 유려하게 변론을 하는 것은 다분히 의뢰인을 의식한 제스처일 수 있지요."
그래서인지 변호사들은 예상 밖으로 보통 사람들보다 언변이 썩 뛰어난 것 같지도 않습니다.
변호인석에 마이크가 설치돼 있어도 방청석에서는 여전히 잘 들리지 않습니다.
14년 전이나 지금이나 상당수 변호사들은 자그마한 목소리로 짧게 변론을 하기 때문이지요.
요즘 사법개혁 과제로 배심제, 참심제 도입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검사와 변호사는 프로가 아닌 아마추어를 상대로 유무죄를 입증해야 하지요. 이렇게 되면 언변과 제스처가 뛰어난 사람이 능력있는 법률가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법정의 풍경이 어떻게 바뀔지 궁금해지네요. 박병선기자 l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