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로 17일째를 맞고 있는 대구지하철 파업이
그간 노사 교섭의 최대 걸림돌이 돼 왔던 2호선 조직개편안 문제와 관련해 지하철공
사가 전향적인 자세를 보임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구지하철공사측은 5일 밤 공사 회의실에서 파업 이후 세 번째로 가진 본교섭
에서 노사 동수, 시민 단체 등이 참여하는 가칭 '시민중재위원회'를 구성해 2호선
조직개편안과 지하철 안전 문제 등을 논의할 것을 노조에 전격 제의했다.
사측이 지금까지 "조직개편안은 원칙적으로 경영권에 속하는 것이어서 교섭 대
상이 될 수 없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어 온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노조의 요구를 일
정 부분 들어준 파격적인 제안이다.
노조측은 이에 대해 "원칙적으로는 긍정적이지만 위원회 구성과 성격 등 구체적
인 사항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간 이 문제가 노사 교섭을 둘러싸고 최대 쟁점이 돼 온 점을 감안하면 파업
사태가 지금까지의 교착 상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내년 9월 2호선 개통에 따른 조직개편안에 포함된 인력 충원 규모, 일부
업무의 민간 위탁 등 세부 사항을 놓고 노사간 입장 차이가 워낙 커 시민단체가 중
재에 나서더라도 양측이 쉽게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더구나 현재 노사가 교섭을 벌이고 있는 인력 충원, 근무 형태, 휴일 일수 조정
등 대부분의 안건이 사실상 조직개편안에 따라 그 범위를 정할 수 있는 사안이기 때
문에 조직개편안 문제가 조속히 매듭지어지지 않을 경우 이번 파업이 초장기화될 가
능성이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다음주 대구에서는 민주노총 차원의 대규모 집회가 열릴 예정이어
서 대구지하철 파업이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