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정수장학회 논란을 어떻게 매듭지을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열린우리당이 정수장학회 설립과정의 문제점을 집요하게 쟁점화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언이나 정황증거들이 속속 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한 박 대표의 입장은 분명하다. 설립과정과 운영에 문제가 없으며 공익법인에서 이득을 얻은 게 없기 때문에 이사장직 사퇴도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아가 박 대표는 진상조사단을 가동하고 있는 열린우리당을 향해 "조사할테면 얼마든지 조사해보라"며 여당의 공격에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완강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기에는 안팎의 상황이 어렵게 돌아가고 있다. 열린우리당의 공세 뿐만 아니라 당내에서조차 이회창 전 총재를 괴롭힌 병풍(兵風)에 당이 나서 대응하다 결국은 당까지 피해를 본 만큼 박 대표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이사장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요구가 힘을 얻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일 대구.경북 초선의원들이 박 대표와의 만찬 간담회에서 이같은 요구를 전달한데 이어 '새정치 수요모임' 소속 소장파 의원들도 4일 박대표와의 회동에서 똑같은 건의를 했다. 이밖에 비공식 루트를 통해서도 이사장직 사퇴 건의가 속속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수용불가 입장을 분명히했다. 소장파 의원들과의 회동에서 "정수장학회 이사장직 사퇴문제는 나에게 맡겨달라"고 한 박 대표의 발언을 놓고 당안팎에서 "사퇴를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이 쏟아졌지만 박 대표는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을 통해 "사퇴한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대표가 사퇴를 위한 적절한 시점과 명분을 찾고 있다는 관측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금 바로 사퇴할 경우 여당의 공세에 밀려 사퇴하는 모양새가 되고 이는 여당과의 국가정체성 공방에서 결정적인 약점을 제공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당 장악력에도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최대한 모양새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그 시기는 어떤 형태로는 정수장학회를 둘러싼 논란이 정리가 된 다음이 될 것이란 게 당 주변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