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 첫발은 뗐지만…

입력 2004-08-06 11:21:54

여야가 언론발전특위 구성에 잠정 합의함으로써 언론개혁을 위한 발걸음이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 소속 문광위 이미경(李美卿) 위원장과 우상호(禹相虎) 간사는 최근 한나라당 간사인 정병국(鄭柄國) 의원과 만나 언론사의 소유지분 문제, 공정성 담보 등 언론 사안들을 논의하기 위한 별도 기구 설치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다음달 중 언론발전위 구성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키로 의견을 모으는 등 구체적 일정도 잡았다.

특위가 구성되면, 국회 문광위에서 언론개혁이 다뤄질 경우 격렬한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던 분위기가 일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특위로 이관될 경우 여론의 부담 때문에 위원들이 보다 자중할 것이란 게 일반적인 관측이기 때문.

또 특위가 중립적 외부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다는 점도 정치적 공방을 피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특위가 지난 총선 이전 정치개혁과제를 다룬 '범국민정치개혁협의회'를 모델로 하고 있는 이유도 여론 분열에 따른 정쟁 방지를 위해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언론개혁이 협상과정에서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위 구성으로 여야 어느 한쪽의 안이 관철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 언론노조가 제시한 안들은 대폭 수정될 가능성이 크다.

벌써부터 신문사 소유지분 구조, 독과점 문제 해소에 대한 회의론적 시각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특위 구성에 '중립적 인사'에 대한 시각차 등 위원 선임을 둘러싸고 여야간 대립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구성 작업이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