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천200만 가구에서 KBS와 MBC 등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위성방송 지상파 재전송을 둘러싸고 방송위원회와 케이블방송사업자(SO)가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케이블TV협회는 6일 'SO협의회 비상 임시총회'를 열고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에 지상파 재송신을 허용키로 한 방송위의 채널정책안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협회 측은 이날 총회에서 지상파 방송의 송출을 전면 중단하는 것과 중앙 지상파 방송을 지방에까지 송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만약 케이블사업자들이 지상파 송출을 전면 중단하면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전망이다.
전국 가구의 70%가 넘는 1천200만 가구가 케이블 TV로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기 때문. 따라서 지상파 방송 송출을 중단하면 국민 중 70% 정도가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없게 된다.
실제로 케이블TV협회는 "방송위원회의 잘못된 채널정책 수립으로 KBS, MBC, SBS를 시청하실 수 없습니다.
올바른 방송정책 수립을 위한 자세한 문의는 아래 전화로 하시기 바랍니다"는 문구와 방송위원회 전화번호,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국회의장실 홈페이지 주소가 적혀있는 시청 고지 화면을 가상으로 제작하기도 했다.
협회는 또 중앙 지상파를 지방으로 송출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방송위가 '시청자의 볼 권리'를 들어 스카이라이프에 지상파 재송신을 허용한 만큼 케이블 사업자들도 지방 시청자의 볼 권리를 위해 중앙 지상파를 송출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방송위는 "만약 송출 중단 사태가 발생할 경우 의무재송신 채널인 KBS1과 EBS를 송출하지 않은 부분은 위법이므로 제재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당한 허가 없이 중앙 지상파를 지방으로 송출할 경우에도 법적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장성현기자 jacksou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