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반대론 목소리 높아져

입력 2004-06-23 14:06:05

김선일씨가 피살됨에 따라 이라크 파병 문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열린우리당에서 추가 파병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논란 끝에 이라크 추가 파병을 지난 주말 최종 결정했으나 상황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김원웅(金元雄), 유승희(兪承希), 임종인(林鍾仁) 의원 등 파병 반대파 의원 10여명은 23일 "추가 파병은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민주당 소속 파병반대 의원들의 서명을 받아 파병 재검토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김 의원은 결의안을 제출하면서 "우려했던 일이 터졌다"며 "사태가 더 악화되기 전에 추가 파병 계획을 즉각 중단하고 파병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와 열린우리당이 파병방침을 확정한 지난 18일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16대 국회의 파병동의안 효력을 인정하지도 존중하지도 않는다"며 "최근 며칠 사이 동참 의원의 숫자가 더 늘어났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야권도 들썩이고 있다.

파병에 반대해 온 민주노동당은 23일 독자적으로 파병철회 결의안을 제출했고 민주당도 피살된 김씨에 대한 애도의 성명을 발표하며 파병철회를 주장했다.

특히 민노당은 지도부와 의원들이 21일 광화문 촛불집회에 참석한 데 이어 22일엔 김혜경 대표와 10명의 소속의원 전원이 국회 본청 민노당 사무실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하는 등 실력 행사에 나섰다.

한나라당은 파병 찬성의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분위기다.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이런 일로 파병 결정을 바꾸면 테러를 하는 사람들에게 '저런 나라는 저렇게 하면 된다'는 식의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다"고 비판했고 김형오(金炯旿) 사무총장도 "여당의 중구난방식 사고방식이 김씨 납치 세력을 고무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지도부도 "추가 파병으로 당론과 정부 방침이 정해진 마당에 재검토를 이야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파병반대파 의원들의 독자행동에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