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주검으로'...피랍서 살해까지

입력 2004-06-23 05:49:42

"아! 어찌 이런 참변이..." 무사귀환을 바라던

전국민의 하나된 여망에도 불구하고 끝내 김선일씨는 차가운 주검으로 고향 땅을 밟

게됐다.

가나무역 직원으로 지난해 이라크 땅을 밟은 김씨에게 뜻밖의 불행이 닥친 것은

지난 17일.

숨진 김씨는 당시 이라크 직원 1명과 함께 트럭을 타고 물건을 배달하기 위해

바그다드에서 200㎞ 가량 떨어진 리브지 캠프를 떠나 팔루자 지역으로 향하던 중 무

장세력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의 피랍 사실이 알려진 것은 이로부터 사흘이 지난 한국시간 21일 새벽 5시

께 아랍 위성방송 알-자지라 방송이 '알 타우히드 왈 지하드(유일신과 성전)'라는

무장단체가 보내 온 피랍된 김씨의 화면을 방영하고 난 뒤였다.

"한국군이여, 제발 여기서 나가 달라. 나는 죽고 싶지 않다. 당신의 목숨은 소

중하다. 하지만 내 목숨 역시 소중하다"고 외치던 김씨의 절규는 생생히 이 방송을

통해 전해졌다.

김씨를 납치한 무장세력은 당시 김씨의 모습을 공개함과 동시에 24시간의 말미

를 주면서 한국군의 파병철회를 요구했다. 무장세력은 그렇지 않을 경우 김씨의 머

리를 보내겠다고 협박했다.

김씨 피랍사실이 알려진 뒤 정부는 오전 8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소집 등 긴

급 상황에 돌입했고, 무장세력이 요구한 이라크 파병 철회 요구를 거부한 가운데 김

씨 구출 작업에 총력전을 전개했다.

정부는 무엇보다 김씨 구출을 최우선 목표로 정하고 각종 채널을 통해 무장세력

과 접촉을 시도하는 한편 긴급 협상대표단을 현지로 파견하고 아랍 12개국 주한대사

를 초치해 김씨 구출작업에 협조를 요청하는 등 전력투구.

또 정치권은 물론 국민도 저마다의 방법으로 김씨 구출대열에 동참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장세력이 요구한 24시간 시한이 지난 22일

새벽이 지나도록 김씨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으면서 초조감은 높아만 갔다.

그러다가 이날 오후에 접어들면서 김씨가 안전하게 생존해 있다는 잇단 소식들

이 들리기 시작하면서 낙관론이 조심스레 일기 시작했다.

또 반기문 외교장관이 직접 알-자지라 방송에 출연해 김씨의 석방을 호소했고,

아랍 언론들도 서희.제마 부대의 인도적 활약상을 전하면서 석방 분위기 조성에 한

몫을 했다.

특히 이날 밤 아랍 위성방송인 알-아라비야 방송이 무장세력이 요구시한을 연장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우여곡절을 겪긴 하겠지만 결국 풀려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게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장밋빛 전망이 확산되던 한국시간 밤 10시20분께. 김씨의 주검

이 바그다드에서 팔루자 방향 35㎞ 지점에서 발견되고 말았다는 소식이 미군으로부

터 갑자기 날아들었다. 피랍사실이 언론을 통해 공개된 뒤 41시간만의 일이었다.

김씨의 참수 사실은 이어 23일 새벽 2시가 다 되어갈 무렵 알-자지라 방송의 보

도를 통해 알려졌다. 숨막히는 41시간의 피랍 드라마가 비극적인 인질 참수로 막을

내린 것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