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내 앞에 가고
나는 그대 뒤에 서고
그대와 나의 길은
통곡이었네
통곡이 너무 크면 입을 막고
그래도 너무 크면 귀를 막고
눈물이 우리 길을 지워버렸네
눈물이 우리 길을 삼켜버렸네
못 다 간 우리 길은
멎어버린 통곡이었네
이성복'길 1/'
*무책임하게도 시인은 통곡의 이유를 말하지 않는다.
그 길이 뭐길래 대뜸 그대와 나의 길은 통곡이라는 것이다.
오직 통곡만이 통곡을 지울 수 있다는 아이러니가 그러면 이 시의 메시지인가. 멎어버린 통곡이 통곡의 해소란 말인가. 아니다.
그렇지 않다.
황간과 영동 사이 검은 시간의 골짜기를 찾아가 보라. 내 첫사랑이 묻힌 거기, 한 세대가 넘도록 멎었던 통곡이 찔레꽃 그늘에서 강둑을 허문다.
못 다 간 우리 길이 통곡의 이유임을 이제 알겠다.
강현국(시인.대구교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