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수거물 관리시설(원전센터) 유치 신청을 마감한 결과 경북 울진군 3개면을 포함 전북, 전남, 인천 등 전국 7개 시.군의 10개 읍.면 지역이 신청을 했다.
원전센터는 오는 7월말 유치 신청 읍.면 마을 소속 자치단체 주민들의 찬.반투표를 거쳐 11월말 본 신청을 하게됨에 따라 아직 어느 지역이 유치를 하게될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문제는 어떤 지역이 선정되든 부안사태와 같은 극심한 지역 분열과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특히 울진지역에서 이번에 근남, 기성, 북면 등 3개 지역이 한꺼번에 지금까지의 반대분위기와는 달리 신청을 한 것은 의외로 보이며, 최근 빈발하는 동해안지역 지진 발생과 함께 찬.반논쟁을 더욱 가열시킬 것으로 보여 걱정된다.
유치에 찬성, 신청을 앞장서 주도하고 있는 '울진발전포럼'은 낙후한 울진 발전을 위해서는 원전센터를 유치하는 길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현재 4기의 원자로가 가동 중이고, 앞으로 6기가 더 들어서게 돼 있는 마당에 원전센터를 유치 못할 이유가 없다며, 유치 반대급부로 양성자가속기나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이전 받는 것이 실리를 챙기는 일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센터 유치를 반대하는 측의 명분도 그렇게 호락호락 하지 않다.
군의회나 반핵단체들은 원전의 안전성이 명확히 담보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원전센터를 유치하는 것은 울진을 더욱 불안한 지역으로 만들고,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려 내 고장을 황폐화 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울진반핵연대'를 중심으로 한 유치반대 지역민들은 최근 발생한 5.2 강도의 지진은 울진이 안전지역이 아님이 입증된 것이라며, 7~10호기의 추가건설에도 반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한국의 발전정책이 원전을 포기하는 것이 아닌 이상 원전센터는 어디에든 세워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모르는바 아니나, 찬.반논쟁이 이처럼 양극단으로 치닫게 하는 것은 정책적으로 문제가 없지 않다고 본다.
정부는 찬.반논쟁이 더 확대되기전 보다 합리적인 방안 모색에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