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선팅' 논란

입력 2004-05-27 15:54:3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마치 닭과 계란의 논쟁처럼 차량선팅 애호가들과 경찰간의 뜨거운 논쟁이 온.오드라인을 말라. 전개되고 있다.

우선 애호가들은 "직사광선이나 특히 야간운행땐 전후방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 눈을 보호하고 오히려 안전운행에 도움을 준다" 여성운저자들은 중심으로 한 계층은 강력한 "자외선을 차단해 피부를 보호해 피부암의 예방기승도 있다" "단열효과로 인해 냉난방이 잘 되기 때문에 연료도 절약할 수 있다.

자동차 전문가들도 선팅차량의 실내온도가 섭씨 3℃가량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고 했다" "사생활 침해가 아니냐" 이에반해 경찰 측은 ("뒷차량의 전반 시야 확보가 어려워 안전운행을 한다" "차안이 보이지 않아 차량내 범죄를 조장하고 뺑소니 심리까지 유발한다" "운전 중 안전띠 착용이나 휴대전화 통화를 단속하는데 애로가 많다"

▲경찰청이 그동안 논란이 됐던 차량선팅 행위를 도로교통법 개정을 통해 내년 후반기부터 단속에 들어가겠다고 하면서 그 찬반 논쟁이 갈수록 격렬해지고 있다.

양쪽의 의견은 나름대로 일리가 있어 선뜻 어느게 정답인지 가리기가 어렵다.

문제는 이같은 소모적인 논쟁의 단속은 제외할건 우선 경찰측에 있고 또 건교부가 결정적인 저질렀으며 규제개혁위원회의 미지근한 태도도 일단의 책임이 있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선팅차량의 단속근거는 "교통법 48조 '자동차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지나치게 낮게하여 10m 거리에서 차량내의 사람을 명확하게 식별할수 없는 차량'에 대해 법칙금 2만원을 물도록 했다.

▲'10m 거리에서 차내의 사람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단속은 사실상 단속경찰관의 시력, 당시의 주변여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심지어 경찰이 자의적으로 판단할 수가 있는 극히 애매모호한 규정이 단속때마다 단속운전자들과 실랑이가 되면서 여론화 되면서 결국 경찰은 이 조항을 아예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규제개혁위원회에 제출했다.

그러자 규개위는 교통안전과 범죄예방을 들어 폐지는 곤란하다는 담변만 냈다.

이에따라 규개위가 법규정의 명확성을 확보해보라는 회신을 하는 게 옳았다.

한술 더 뜬건 건교부, 99년 2월 자동차검사항목에서 선팅조항을 아예 폐지해버렸다.

경찰의 단속규정은 있고 자동차검사항목엔 없는 '이상한 현상'이 공존하면서 경찰은 사실상 단속에서 손을 뗀 셈이다.

▲이게 바로 우리나라 교통행정의 적나라한 난맥상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차량 검사에선 통과하고 교통경찰은 단속하는 웃지못할 현상이 결국 약 5년간 계속되면서 선팅은 거의 '관행'으로 굳어져왔고 그 차량이 자그마치 1천만대가 넘는다.

물론 경찰은 광선투기율을 측정할수 있는 '자동측정기기'가 새로 만들어지면서 '투과율'로 단속규정을 새로 만들어 단속하겠다고 했다.

선팅에 길들여져 온 1천만명 이상 운전자들이 반발무마나 경제적 손실도 문제이지만 법운용이 이래서야 되겠는가. 가뜩이나 헌법이고 뭣이고 '자기맘'에 안 맞으면 그 법이 잘못됐다고 난동을 부리는 판국에 말이다.

박창근 논설위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