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공무원직장협의회(회장 박성철)가 지난 1일 대구 달성군 다사읍 죽곡 정수장에서 부산 물금 취수장까지 160km의 물길을 배를 타고 탐사했다.
대구의 공식 기관이 낙동강 탐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 박 회장은 "낙동강 주변에 분포한 다양한 문화재와 경관, 주요 지점의 물깊이(수심)와 강폭 등을 조사해 낙동강의 바람직한 이용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라며 "이번 탐사에 이어 올해내로 대구에서 구미 해평까지 50km를 추가로 탐사하는 등 앞으로 낙동강 물길 525km 전부를 탐사해 관련 자료를 모을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1차 탐사에서는 지도에 없는 2개의 삼각주가 낙동강에 새로 만들어졌고, 수십곳의 유채꽃 군락지가 형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구지역의 낙동강 수심이 불과 1~2m 내외인 반면 경남 창녕군 남지 일대에서는 수심이 3m 이상이며, 하류로 내려갈수록 더욱 깊어져 6~7m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의 폭도 달성 현풍지역은 200m 안팎에 머물렀으나 밀양 하류는 700~800m가 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탐사자료를 기록한 달구벌연구소 이대영 소장은 "낙동강변의 좋은 모래사장을 이용한 찜질 등의 행사나 풍부한 수량을 이용한 수상스키, 강 주변에 있는 얕은 야산에서의 패러글라이딩 등 청소년 놀이문화 개발과 주변 문화재 탐방 등 다양한 활용방안이 가능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한편 대구시는 낙동강 수자원 확보와 낙동강 홍수방지를 위한 치수종합 대책 수립 및 경북 구미 해평에서 낙동강 하구언에 이르는 210km에 대한 주운(舟運)개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낙동강 프로젝트의 추진을 정부에 건의해 놓고 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