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농촌서도 제비보기 힘들다

입력 2004-05-01 11:18:01

번식률 격감...개량주택 둥지틀기 불편

'강릉 삼척 멀다해도/ 강남 제비는 또 왔는데/ 시집살이 이내 몸은/ 친정 한 번 못가누나'.

과거 안동지방 농촌 부녀자들이 힘든 시집살이를 한탄하며 부르던 민요다. 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 여성들의 친정 나들이는 쉬워졌으나 강남 갔던 제비는 길을 잃었는지 돌아오지 않고있다.

40여 가구가 모여 사는 안동시 이천동 속칭 '양의골' 마을에서 현재 제비가 둥지를 튼 곳은 권기섭(73.여)씨 집뿐이다. 10여 년전까지 봄이면 집집마다 제비들이 짝지어 날아왔다. 5, 6일 만에 둥지를 짓고 새끼 2, 3마리 를 낳았다. 어미 제비는 노란 주둥이를 벌리며 짹짹거리는 새끼들에게 열심히 벌레를 물어다 주며 키웠다.

그러나 이젠 참새, 까치, 산비둘기는 흔하지만 제비는 보기 힘든 새가 됐다. 제비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든 원인은 무얼까? 안동대 이희무(생물학과)교수는 "토양 내 중금속과 공기 중 유해물질 증가 등 환경오염 심화로 제비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며 "DNA변이로 인한 무정란 발생도 많아 번식률도 크게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제비집 재료인 진흙 구하기가 어려워진데다 농촌주택 개량으로 시멘트 건물에는 둥지 짓기가 적합하지 않다는 것. 농촌 주민들은 "과거 농촌주택들은 처마가 깊은데다 마루가 트여 있어 제비들이 집짓기가 편리했을 것"이라며 제비가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안동시 와룡면 박영식(66.농업)씨는 "매년 음력 삼짇날 쯤 어김없이 제비가 짝을 이뤄 찾아 왔다"며 "이젠 손주들에게 옛 이야기로 들려줘야 할 판"이라고 했다.

이희무 교수는 "환경 오염을 가장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값비싼 기계장비가 아니고 조류"라며 "제비 개체수 감소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강조했다.

안동.장영화기자 yhjan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