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선거는 선거법과의 전쟁 아닙니까".
총선 후보 등록 첫 날인 31일 오후 3시쯤 대구 산업정보대(대구 수성구 만촌동) 정문 앞. 학생들에게 자신의 기호와 약력이 적힌 명함을 나눠주는 김모(50.대구 수성 갑 선거구) 후보의 손길이 바쁘다. 수행원 2명은 한 걸음 뒤에 서 있을 뿐이다. 개정된 선거법에는 운동원이 후보자 본인을 대신해 명함을 돌릴 수 없도록 되어있기 때문.
30여분간의 '얼굴 알리기'를 마치고 이동차량에 오르는 김 후보의 표정이 지쳐 있다. 이날 새벽부터 등산로, 출근길 버스정류장, 선거사무소, 길거리를 돌았다.
정치 신인인 김씨가 현행 선거법상 얼굴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은 명함 돌리기와 악수 뿐이다. 이때문에 한명이라도 더 만나야 해 새벽 1시나 되어야 잠자리에 들고 새벽 5시면 다시 일어나야 한다. 그는 이런 식으로 3천여장의 명함을 돌렸다.
"후보를 알릴 수 있는 길이 본인 밖에 없으니 체력이 관건입니다". 그는 며칠 전부터 보약을 먹고 있다. 차에는 건강 드링크가 실려있고 주변의 코치대로 일명 '효도신발'도 신어보고 발 맛사지, 반신욕도 하고 있다.
'운동장 연설회'가 없어져 선거 분위기가 시들하지 않느냐고 묻자 "선거법이 준엄하게 바뀐 것은 환영할 일"이라며 "예전 같으면 나 역시 탈법의 유혹을 느낄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나 까다로운 선거법은 역시 큰 부담.
후보자 이외 자원봉사자나 선거 사무원은 어깨띠를 두를 수가 없고, 유세 행렬도 후보자를 포함해 5명으로 제한됐다. 유례없이 강도높은 선거 단속을 피하려면 영수증 하나 하나까지 챙겨야 한다. 그는 매일 이동하는 차 안에서 짬짬이 수행원으로부터 선거법 주의사항을 경청해야 한다.
이날 김 후보는 1시간동안 만촌 네거리 주변을 돌며 200여장의 명함을 돌렸다. 그만한 횟수의 악수를 한 셈. 명함이 떨어지면 수행원이 양복 주머니에서 꺼내 준다. 다른 후보와 마찬가지로 그는 까다로운 법망을 피해가는 '유세 아이디어 회의'를 매일 갖는다. 김 후보는 유니폼 금지 조항 때문에 소속당을 알리는 색깔의 '점퍼'를 입고 수행원에게 같은 색의 모자와 가방을 입혀 '세트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날 오후 6시로 예정된 선거사무소 개소식장으로 가는 차 안에서 김 후보가 농담반으로 말을 건넨다. "고사는 지내야 할 텐데... 그런데 돼지머리에 돈 꽂는 것도 정치자금 위반인가?"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