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예비후보들이 다음달 2일부터 동원할 수 있는 선거운동원 문제로 고민에 빠졌다.
일당 3만원에 식대.교통비를 합쳐 하루 4만5천원을 받는 선거운동원 자리를 희망하는 주부들이 줄을 잇고 있지만 선거법상 동(洞)당 3명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비후보들은 한 표도 아쉬운 형편인데 혹시나 선거운동원 자리 경쟁에서 탈락된 주부들의 표를 잃을지도 모르는 일.
특히 이번 선거가 유례없이 돈 안쓰는 깨끗한 선거로 전개되고 있고 선거 운동 감시 또한 강화돼 정원 외 운동원을 고용하는 것이 불가능, 후보들의 고심은 더욱 깊다.
이때문에 후보들은 정예멤버 선발에 기발한 방법까지 동원하고 있다.
10개동을 선거구로 두고 있는 대구 달서구의 한 후보의 경우는 각 동마다 3명씩 30명에다 선거본부 4명 등 34명을 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동원 희망자들이 많아 심한 내분(?)을 겪은 끝에 선거운동원 30명을 일주일 동안만 고용하고 그 다음 주에는 선거운동원을 모두 교체하기로 했다.
이 후보는 결과적으로 선거운동원을 정원의 2배로 고용할 수 있어 지원자들에게 고루 기회를 줄 수 있게 됐다며 그러나 중요한 동책의 경우엔 고정적으로 고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면 선거구가 통합된 중.남구의 경우 동 수가 26개나 돼 선거운동원을 비교적 넉넉하게 고용할 수 있어 타 선거구 후보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수성구에서 출마 예정인 한 후보는 후보등록과 함께 운동원 등록을 마쳐야 하는데 운동원을 하겠다며 찾아오는 이들이 넘쳐나 정리에 애를 먹고 있다며 선거운동 문화가 많이 바뀌어 금권선거가 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선거운동원이라도 충분히 고용할 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