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12일 한국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사태에 언급,
"이는 한국민이 결정해야 할 국내 정치적 사안"이라고 논평했다.
리처드 바우처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국무부 정례브리핑에서 한국의 탄핵
정국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고 "정치적 사안에 대한 논평은 하지 않겠다"면서 "이는
한국 정부와 국민이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이날 아침 한국의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
장관과 전화접촉을 갖고 한미협력과 공조 및 동맹관계를 재확인했다고 바우처 대변
인은 전했다.
미국은 한국의 탄핵정국과 관련, 양국 외무장관 접촉을 통해 한미간 긴밀한 동
맹 및 협력관계를 재확인하고 국무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를 "국내문제"라고 지적,
양국간 긴밀한 동맹관계를 거듭 다짐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한미 동맹관계는 여전히 강력하고 안정적이며 긴요하다"면서
"한미 양국은 북핵 6자회담을 비롯, 한국군의 이라크 파병 등 공동관심사에 관해 계
속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바우처 대변인은 한국의 탄핵사태가 향후 6자회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
느냐는 물음에 "추측은 하지 않겠다"며 6자회담의 경우, 한미 양국은 지금까지 긴밀
한 공조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같은 관계가 계속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
변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한미 양국간 협력은 그같은 기조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
이라면서 "파월 장관과 반 장관간 오늘 전화통화에서도 6자회담 뿐 아니라 다른 현
안에 있어서도 계속 협력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한미 양국 정부는 특히 이라크 파병을 비롯, 이라크 전후처리
및 북핵 6자회담 등 수많은 문제에 있어 긴밀한 협조를 해왔다"면서 한국방위와 주
한미군 재배치 등 공동관심사와 경제협력을 비롯한 국제현안에 있어서도 양국간 협
력관계는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다만 한국 정부가 긴밀한 한미관계속에서 구체적인 외교정책이
나 대외기조에 있어 어떠한 입장을 취할 것인가는 한국 정부에 전적으로 맡겨야 한
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워싱턴=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