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이 9일 오후 제출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은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을 상대로 한 것이다.
국회 사무처에 따르면 역대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것은 모두 8차례이며
주로 검찰총장이 타깃이 됐다. 또 가결된 사례는 없고 모두 부결되거나 폐기됐다.
첫 탄핵안은 지난 85년 10월18일 법관 인사불공정 문제를 계기로 유태흥 대법원
장을 상대로 발의돼 그해 10월21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이 이뤄졌으나 부결됐다.
두번째 탄핵안은 지난 94년 12월16일 12.12사태 불기소와 관련, 당시 김도언 검
찰총장을 상대로 제출됐고, 그해 12월19일 본회의 표결에서 부결됐다.
세번째, 네번째 탄핵안은 지난 98년 5월26일과 99년 2월4일 김태정(金泰政) 검
찰총장을 상대로 피의사실 사전유포 및 검찰정치적 중립성 훼손, 야당 편파.표적수
사 등을 이유로 각각 제출됐으나 폐기(세번째), 부결(네번째)됐다.
5.6번째는 김태정 검찰총장 후임인 박순용(朴舜用) 검찰총장이 대상이 됐다. 당
시 박 검찰총장은 99년 8월26일과 2000년 10월13일 국회 옷로비 의혹및 조폐공사 파
업유도 의혹사건에 대한 자료제출 거부와 선거사범처리 불공정 등의 이유로 각각 탄
핵소추 대상에 올랐으나 모두 폐기됐다.
후임인 신승남(愼承男) 검찰총장도 검찰차장 시절인 2000년 10월13일과 검찰총
장 시절인 2001년 12월5일 선거사범처리 불공정과 검찰의 정치적 중립훼손 등의 사
유로 7,8번째 탄핵소추 대상이 됐으나 모두 폐기됐다.
탄핵소추안 제출이 특히 98년 이후 급격히 늘어난 것은 '여소야대 정국'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