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누리사업' 분리 논란

입력 2004-03-06 11:14:44

지방대학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누리(NURI) 사업'을 둘러싸고, 대구.경북지역 대학이 '통합파'와 '분리파'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향후 5년간 1조4천200억원이 투입될 누리사업의 성공적 참여 여부에 각 대학의 생존권이 달렸다고 볼 때, 대학간 갈등은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그러나 개별 대학의 입장이 아닌 지역사회의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

교육부는 '지방산업이 필요로하는 인력을 경쟁력 있는 지방대학을 육성해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지방대학을 발전시키고 자생적 지방화의 혁신시스템을 완성한다'는 취지의 누리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 대구.경북을 포함한 동일 경제권을 묶어 사업을 추진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따라서 대구.경북이 함께 사업을 추진할 경우 최소한 100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지원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대구시와 경북도는 누리사업의 공동추진에 일찌감치 합의했고, 대구.경북분권혁신협의회를 비롯한 누리사업 관련 기관.단체 모두 '통합추진'에 찬성하고 있다.

지역혁신협의회(RIS)가 시,도 공동으로 설립되는 만큼 산하분과 사업인 '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회'와 '누리사업' 역시 통합추진되는 것이 당연하다.

지역사회의 여론이 이렇듯 확고한데, 왜 일부대학들은 '반(反) 개혁적' '반 지역사회적'이란 비판을 무릅쓰고 분리추진을 주장하는가. "누리사업을 통합추진할 경우 경북대가 사업을 '독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 누리사업 통합반대 대학들의 주장이다. 경북대에 대한 '우려'와 '불신'이 깔려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지역에서 경쟁력을 가진 대학이 경북대만은 아니다.

영남대와 포항공대 등 경쟁력을 가진 지역대학도 있는 것을 감안할 경우, '경북대 독식' 주장을 빌미로 한 통합반대의 취지는 설득력이 약하다.

혹시라도 누리사업의 대구, 경북 분리, 또 경북내 지역간 분리를 조장함으로써 예산을 나눠 혜택을 누리려는 의도는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바로 이런 갈등상황이 계속되고 있을 때 지역사회의 총체적 이익을 키우면서 이해관계 대학들을 토닥거리고 품어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조정과 결정의 중심에 선 조해녕 대구시장과 이의근 경북지사, 그리고 김달웅 경북대 총장의 리더십을 지켜볼 때다.

석민기자(경제부)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