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장천농협의 영업정지 사태는 농협직원과 조합원인 농민들이 문제를 대화로 풀지 못하고 장기화 시키면서 이 지경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심히 유감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장천농협도 유가농협 등 다른 농협처럼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했어야 했다.
영업정지사태는 농협 직원이나 조합원 모두에게 피해를 끼칠뿐이기 때문이다.
장천농협의 시비도 처음엔 다른 여타 농협들의 요구와 같은 것이었다.
조합원들은 빚더미에 시달리는 데도 농협 직원의 인건비가 고액인 것은 모순이라며 시정을 요구하고, 신용사업보다는 유통사업 비중을 높여 실제 농민에 도움을 주는 농협이 돼 달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장천농협은 지극히 당연한 조합원의 주장을 무시하고 버티다가, 결국은 조합원의 탈퇴선언과 함께 예금인출 사태가 빚어지면서 영업정지를 당하게 된 것이다.
본란은 농협이 농민조합원들의 요구를 경청하고, 농협이 시대의 요구에 맞게 환골탈태할 것을 주문해 왔다.
8천만원에 이르는 임직원들의 연봉을 조정하고, 유통과 소득사업의 비중을 높여 줄 것을 강조해 왔다.
더욱이 한.칠레 자유무역 협정, 정부의 10개년 농업.농촌 발전계획 등 시대적 흐름은 농협조직의 대대적 개편을 요구하고 있음을 지적해 왔다.
물론 누적된 농협의 여러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해결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EU 등 선진국들처럼 농민이 농산물을 생산하기만 하면 판로와 유통을 농협이 책임지고 해결해 주려면 농협 전반의 대대적 조직개편과 함께, 거기에 적응할 시간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농민조합원들도 너무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
장천농협이 영업정지를 당하기 바로 직전 농협직원들과 조합원들이 개선원칙에 합의, 영업정상화를 상부기관에 요청한 것도 농협 개혁과 조직개편이 그만큼 어렵기 때문 일 것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농민들은 농협과 한 배를 타고 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서로 양보하고 타협하면서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