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非正規職) 처우개선 등과 관련한 갈등은 노노(勞勞)간의 마찰까지 불러오는 요인이 된지 오래다.
양대 노총이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을 올해 임-단협의 노동조건으로 내세울 만큼 쟁점(爭点)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거의 같은 수준의 일을 하면서도 임금, 복지와 고용상태 불안정으로 노동현장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는 게 현실이다.
노동연구원이 공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 및 개선방향'을 보면 정부가 이런 비정규직의 실태개선은 커녕 오히려 조장하고 있다는 인상을 떨치지 못한다.
52개 중앙행정기관과 212개 공기업 및 산하기관, 대구.경북 등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50개 국립대 등 공공부문의 비정규직은 전체인원 124만9천명중 18.8%인 23만4천명으로 집계됐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조사는 처음 있는 일이다.
정부는 지난해 4월1일 기준으로 조사했지만 파장을 우려해 그동안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에 대해서는 공개를 미뤄왔었다.
결국 정부가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따른 폐해 해결에 뒷짐을 진 꼴이다.
이의 단적인 예는 노동부의 비정규직 실태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비정규직의 정책을 담당하는 노동부의 경우 총원 5천273명중 49.1%인 2천589명이 비정규직이다.
자신의 부(部)상황이 이런 판에 일반기업이나 정부 부처에 비정규직 남용 억제는 거론할 수가 없게 돼있다.
심하게 보면 노동부 스스로가 고용안정성을 외면하고 있다.
비정규직 보호는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와 상반되는 관계다.
또 기존 근로자 영역침해, 신규채용 인력 창출과 맞물려 있다.
그러나 비정규직 양산은 국가 활력에 침해요인이다.
현대중공업 하청업체 근로자가 분신자살까지 간 한 원인도 비정규직 차별이 빚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우리 사회가 비정규직에 대한 안정망 구축에 고민할 때다.
물론 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이 기업에 앞서 비정규직 고용안정 등을 서둘러야 할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