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배아(胚芽) 줄기세포'를 만들어 신
경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쥐나 토끼의 난자에 사람의 체세포를 주입하는 '이종간 핵이식'을 통
해 줄기세포를 만들어 특정 세포로 분화시킨적은 있으나, 사람의 난자에 사람의 체
세포를 주입해,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것은 세계 처음이다.
12일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팀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따르면 연구팀은 건
강한 한국인 여성에게서 채취한 난자에서 핵을 빼낸 뒤 난자를 제공한 본인의 체세
포를 난자 속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사람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특히 이 배아줄기세포를 사람에게 직접 치료용으로 이식할 수 있는 단
계인 '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데도 성공을 거뒀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13일자에 실릴 예정으로,
황 교수팀은 이날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각국 언론사들이 참
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줄기세포는 신체내에 있는 모든 세포나 조직을 만들어 내는 기본적인 세포로,
사람의 배아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와 혈구세포를 끊임없이 만드는
골수세포와 같은 '성체줄기세포'로 나뉜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이 배아줄기세포가 인체의 210여개 장기로 발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 세포를 특정세포로 분화시키면 뇌질환에서 당뇨병, 심장병에 이르기까
지 많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데 노력해 왔다.
하지만 국내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던 배아줄기세포는 동물의 난자에서 핵을
빼낸 뒤 사람의 체세포를 넣거나, 불임부부들에게서 채취된 잉여 냉동 수정란이 대
부분이었다.
이 같은 이종간 핵이식은 체세포를 난자에 이식하더라도 핵 주변의 미토콘드리
아 유전자가 제거되지 않아, 면역거부반응 등이 우려돼 실제 치료용으로는 쓸 수 없
다는 단점이 있었다.
황 교수는 "면역거부반응을 없앤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 이미 신경세포로 분화
시켰기 때문에 이제 임상에 적용하는 것만 남았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병 치
료가 현실도 다가왔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12일 미국 시애틀에서 세계 최초로 복제된 인간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과학적 쾌거'를 이룬 서울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이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연합뉴스)
--관련기사--==> 사람 배아줄기세포 배양성공 의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