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개발공사가 공급하는 아파트의 분양수익이 분양가의 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자 대구 경북지역에서도 아파트 분양원가를 공개하라는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지역민들은 대구경북지역에서 분양된 아파트에서도 폭리현상으로 아파트값에 거품이 상당할 것이라며, 대구도시개발공사나 주택공사대구경북지사부터 분양원가를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주택회사들이 지난 1998년부터 도입된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를 이유로 땅값(20~30%)과 공사비(40~50%), 간접비용(10%), 금융비용(10%) 등 건설원가를 바탕으로 적정이윤(최대 총매출의 10%선)을 붙여 분양가를 책정하기보다는 분양수익금 최대화를 노려서 분양가를 결정짓기 때문에 아파트 분양가는 최근 1, 2년새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2002년 수성구에서 아파트를 분양한 대구지역 모 업체는 부지매입에 120억원을 투입해 분양 후 사업순이익을 120억원 가량 올렸고, 수성구 단독주택지에 아파트를 분양해서도 60억원의 순이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땅값이 전체 외형의 20~30%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분양으로 30%선 내외의 순이익을 올리고, 또 시공으로 10%이상(통상 표준건축비의 10%내외) 순이익을 챙겨 전체 외형의 40%이상을 순수익금화 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01~2003년 상반기 중 대구에서 아파트를 분양한 주택업체들은 단지별로 30억~200억원대의 순이익을 챙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땅을 직접매입해 아파트를 건설하는 주택업체의 경우 분양수익금과 시공수익금을 모두 취하기 때문에 실제 수익금은 이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주택업체 임원은 "분양가 규제탓도 있지만 IMF 이전 주택업체들의 순수익금은 외형의 3~10%였다"면서 "2002, 2003년 상반기에 아파트사업을 한 업체의 경우 엄청난 폭리를 취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지난 몇년간 주택업체들은 땅값과 공사비를 부풀리는 방법으로 분양가를 높게 책정, 관할 구.군청으로부터 분양승인을 얻어낸 것으로 파악돼 지역에서도 도개공이나 주공이 분양하는 아파트부터 분양가를 공개하고 적정이윤을 책정하는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구지역 아파트 평당가격(33평형 기준)은 2000년 300만원대, 2001년 400만원대, 2002년 500만원대, 2003년 600만원대로 뛰어올랐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