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는 6일 밤 10시 인물현대사 '유전무죄 무전유죄-탈주범 지강헌 사건'을 방송한다.
서울올림픽의 흥분이 채 가시기도 전인 1988년 10월 16일. 서울 북가좌동 한 가정집에서 탈주범 4명이 가족을 인질로 삼고 경찰과 대치하다 10시간 만에 자살하거나 사살되는 유혈극이 벌어졌다.
인질범은 마지막 순간에 비지스의 '할리데이'를 들으면서 깨진 유리로 자기 목을 그었다.
그는 바로 지강헌이었다.
그리고 '유전무죄 무전유죄'란 말이 우리 사회에서 오랫동안 회자됐다.
그들이 인질들에게 밝히고 다닌 탈주 원인은 10년에서 20년까지 내려진 과중한 형량. 5공화국은 형사 피의자의 체벌형량을 대폭 강화하는 특별법을 양산했다.
이들의 탈주를 유도한 것은 형량의 불평등이라는 것. 지강헌은 "돈 없고 권력 없이는 못사는 게 이 사회다.
전경환의 형량이 나보다 적은 것은 말도 안된다", "대한민국의 비리를 밝히겠다.
돈이 있으면 판검사도 살 수 있다.
유전무죄 무전유죄 우리 법이 이렇다"고 항변하기도 했다.
지강헌은 동정받을 이유가 없는, 상습적으로 강.절도를 저질러온 범죄자였다.
대마초에 손을 댄 것이 계기가 돼 범죄의 길로 들어섰고 그것이 돌이킬 수 없는 길이 됐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또한 5공화국이라는 '시대가 낳은 비극'이기도 했다.
'5공 비리'로 대표되는 전두환 전대통령과 그 일가의 부정부패가 빈민층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가속화했다.
그러한 시대적 분위기가 '유전무죄 무전유죄'에 대한 강력한 공감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2004년 오늘, 사건이 일어났던 80년대보다 빈부격차는 더 벌어졌고, 부익부 빈익빈의 구조는 더 고착화되고 있다.
16년전 한 탈주범이 던졌던 '유전무죄 무전유죄', 그 말이 전하고 있는 빈자들의 소외감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장성현기자 jacksou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